조성윤교육감 당선자에게

4·19 경기도교육감 선거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 지난번도 민선이긴 하지만 교육위원들만의 선거권 행사에 비해 1만8천여명으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한 선거는 보다 지방교육자치에 접근한 민주화로 볼수 있기 때문이다. 후보자가 7명이나 난립한 상태에서 현직 교육감인 조성윤후보가 과반수를 넘은 53.23%의 득표로 결선투표까지 갈지도 모를것으로 본 일반의 예상을 깨고 1차투표에서 재선됐다. 이제 선거결과가 확정된 마당엔 상호 경쟁의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지방교육계가 대화합의 면모를 보이기 위해서는 낙선자는 승복의 미덕이 있어야 하고 당선자는 포용의 아량을 가져야 할 것이다.

이제 주목되는 것은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경기지방교육의 악조건을 어떻게 타개해 나갈 것인가에 초점이 모아진다. 조성윤당선자는 선거운동기간중 “가정처럼 좋은 학교를 만들겠다”고 했다. “학생을 믿고 맡길 수 있는 학교가 되도록 하겠다”고도 했다. 당선 소감으로는 “지역역량을 결집, 교육소망에 부응하고 인성 및 창의성이 조화된 인재육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 “인사결과에 대한 과정을 공개해 투명성을 확보하겠다”고 말했다. 그 어느것 하나 버릴 말이 없는 금언이다.

하지만 이를 간절히 기대하는 마음에서 한마디 고언이 없을 수 없다. 당선자는 이미 지난 4년동안 교육감으로 일해왔다. 과거에 못다한 그같은 일을 새삼 어떻게 이룩해 나가겠다는 것인지 그것이 궁금하다. 무엇보다 교육감의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교육행정이 교육실무에 군림하는 권위의식을 버리고 교육실무를 교육행정이 지원하는 봉사의식으로 전환해야 비로소 그 모든것이 가능하다. 이같은 의식전환의 철저한 신념이 있어야만이 예산 또는 제도적 갈등 등 이밖의 애로 또한 타개할 수가 있다. 교육행정 책상 머리가 우대받는 풍토가 아닌 교육일선 현장이 우대받는 풍토가 이루어지길 재선을 계기로 간곡히 당부해두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아울러 당선자가 유의해야 할 몇가지 부담을 일러두고자 한다. 교육계 일각에서 주장하는 부정선거 자행설의 진실에 대해선 잘알지 못한다. 그런가운데 경기도 교육청 간부들이 당선자를 중심으로 환호하는 모습을 보인것은 엄정 중립을 지켜야할 간부들 입장에선 오른 자세가 아니다. 당선자의 책임이 없다 할 수 없다. 또 당선자를 줄곧 괴롭힌 처남의 인사 스캔들도 친인척 관리에 도의적 책임은 있다. 당선자는 이런 저런 결점에서 해방될수 있는 도의성 확립의 비상한 객관적 노력이 마땅히 있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