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근로자는 물론 외국인 산업연수생 마저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 입니다”안산시 목내동 반월공단내 피혁원단 가공업체인 (주)하나레더스 이경순 과장의 한숨섞인 말이다.
수입한 원단을 가공해 최고급 원단으로 만들어 수출하는 피혁업체들은 3D업종으로 인식돼 취업을 기피하는 국내 근로자들로 인해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하나레더스의 경우 경기침체 및 인력부족으로 인해 현재 가동률이 60%선에 머물고 있는데다 월평균 8억원대에 달했던 수출이 지난달에는 6억원대로 감소하는 등 경영난마저 겪고 있다.
뿐만 아니라 40대중반∼50대후반의 근로자들만이 원피를 가득실은 운반기를 이곳 저곳으로 밀고 다니고 있을뿐 20∼30대 근로자는 병역특례자 2명을 제외하고는 눈을 씻고 찾아볼래야 볼 수 없었다.
피혁업체가 국내 근로자들에게 3D업종으로 인식되면서 취업을 기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공백을 외국인 산업연수생들이 메워 산업생산에 일조를 담당하고 있으나 그나마 배정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만성적인 인력난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 과장은 “피혁업체의 경우 힘들여 국내 근로자를 구했어도 2∼3일 지나면 그만둬 버리기 때문에 다시금 일손을 구하기 위해 곳곳을 헤매고 다녀야 한다”며 “일손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노동부의 실업창구도 수차례 찾아갔으나 지원자가 하나없어 실망만 안고 돌아서기 일쑤”라고 말했다.
이처럼 국내 근로자의 외면으로 인해 외국인 산업연수생을 고용해 그나마 공장을 가동하고 있으나 이마저 배정량이 적어 항상 일손부족에 시달리고 있는 상태로 기업마다 외국인산업연수생 쿼터제 확대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특히 오는 8월께 제2공장의 설비가 완료됨에 따라 20여명의 생산직 사원을 채용해야 하는데 요즘처럼 일손을 구하기가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려워 걱정이 태산이다.
이 과장의 말을 뒷받침하듯 공단 곳곳의 게시판에는 일손을 구하려는 모집공고로 도배를 한 상태며 이곳저곳 공장벽에도 모집공고가 덕지덕지 붙어있다.
/최현식·이관식기자 ks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