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지방직 전환이후 농촌 전문지도활동이 줄어드는 등 농민들에 대한 서비스가 감소되고 있다며 국가직으로 환원해야 한다는 농업계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일 농업계에 따르면 지난 97년 농촌지도직 공무원이 지방직으로 전환, 지방자치단체장에게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임용권이 주어지면서 전문적인 지도인력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지방자치단체간 농촌지도 사업발전에 심한 불균형이 초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업인들이 농업기술을 물어볼 곳을 잃는 등 대농민서비스가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때문에 농업계에서는 정부의 1, 2차 구조조정으로 인해 크게 줄어든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인력 확대와 함께 국가직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단법인 전업농중앙연합회는 19일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국가직 환원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연합회는 성명서에서 지난 97년 농촌지도직 공무원의 지방직 전환에 따라 강화될 것으로 기대됐던 농업인에 대한 현장 기술지도 기능이 오히려 악화됐고 자치단체간 상호 경쟁으로 시·군간 기술정보 교류가 이뤄지지 않아 농촌의 균형 발전에 장해요소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지도직 인력의 과다한 감축으로 사업 추진력이 떨어질뿐 아니라 조직의 분위기가 크게 침체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함께 최근 한국농촌지도자중앙연합회와 한국토양비료 학회 등도 농촌지도직 공무원을 국가직으로 재전환을 요구하는 건의문을 정부와 국회에 제출했다.
농촌진흥청도 우선 농촌지도 업무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 시·군농업기술센터 소장의 국가직 전환이 필요하다고 밝히고 있다.
/정근호기자 ghju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