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에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상수원에서 검출되고 있는 가운데 간이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들에도 비상이 걸렸다. 최근 경기도와 도 보건환경연구원이 도내 정수장과 간이상수도, 저수조에 대한 수질검사를 실시한 결과 화성시 양감면 사청4리 및 용서1리, 이천시 대월면 사동1리, 안성시 보개면, 파주시 상촌면, 양평군 백안 등 간이상수도에서 발암물질의 일종인 트리클로로에틸렌(TCE)과 어린이 청색증을 유발하는 질산성질소 등이 검출됐다는 것이다. 도내 간이상수도 중 10 %가 식수로 ‘부적합’하다니 참으로 심각한 사태가 아닐 수 없다.
환경부와 경기도에 따르면 급수인구 100명 이상 2천500명 이내인 간이상수도와 100명 미만인 소규모 급수시설은 전국에 총2만4천여개소로 국민의 6%가 넘는 280여만명의 주민들이 급수원으로 이용하고 있다. 이 가운데 경기지역의 경우 간이 상수도가 1천152개소에 24만여명, 소규모 급수시설은 700개소에 5천900여명이 이용하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실정에서 문제는 수질검사다. 정규 상수도는 일일·주간·월간 등 거의 매일 검사하는데 반해 이들 간이상수도와 소규모 급수시설은 대부분 수질검사를 분기별로 실시하고 있어 오염된 물을 주민들이 먹게될 우려가 크다는 점이다. 수질검사 항목도 정규 상수도는 47가지인데 비해 간이상수도는 대장균과 냄새·맛·색·암모니아·질산성 질소·잔류염소 등 12가지 정도만 검사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이들 소규모 시설은 설치한지가 대부분 20년이 넘어 급수배관과 물탱크가 너무 낡고 누수가 심해 오염물질에 노출돼 있는 실정이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특히 거의가 고지대에 위치해 관리가 힘들 뿐만 아니라 전문 관리인력도 없이 주민이 직접 소독·관리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주로 농촌지역에 설치된 간이상수도나 소규모 급수시설들은 수질검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먹는 물의 안전성에 대한 경각심이 한층 높아지고 있다.
먹는 물 관리는 시설이 노후된 농촌지역일수록 부실사태가 더욱 극심하다. 이에 대한 대책은 깨끗한 물을 먹을 수 있도록 낡은 간이상수도와 배관시설을 빨리 교체하는 일이다. 이와 함께 취수시설도 대형 관정으로 바꿔 막히거나 오염되지 않도록 하고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국가차원에서 상수도로 교체하는 급수대책에 특별투자를 망설이지 말아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