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회사 부도업자 장관, 이로 인한 금융피해, 그리고 강제집행 면탈을 위한 변칙이전 의혹은 장관직이 요구하는 품격에 흠이 아니라 할 수 없다. 다른 자리도 아닌 건설교통부의 오장섭장관에 대한 정치권 일각의 퇴진요구는 귀담아 들을만 하다.
청와대가 유념해야 하는 것은 자민련 사람 장관이라 하여 도덕성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는 사실이다. 오장관이 누구의 추천에 의해서 임명됐든지간에 일단 임명 했으면 임명권자의 책임에 속한다. 오장섭 파문은 안동수 파문과 맥을 같이 한다. 안동수 파문이 민주당 비선에 의한 것이라면 오장섭 파문은 자민련 비선에 의해 나왔다 할 수 있다.
정장선의원 등 민주당 소장파 초선의원 6명이 비선인사의 문책요구와 함께 당직사퇴를 들고 나온 것은 신선했다. “젊은 것들이 건방지다”는 동계동계 반발이나 ‘자중지란’의 불쾌감을 표시하는 청와대측 반응은 공허하다. 원인행위가 된 잘못에 대한 반성은 없이 이들의 쇄신요구만을 탓하는 것은 권위주의적 발상이다. 마찬가지로 오장섭장관 문제역시 권위주의적 발상으로 임해서는 정부의 이미지 개선에 아무 도움이 안된다. 안법무는 굳이 충성문건 파동이 아니더라도 원천적으로 자질미흡론이 제기됐던 사람이다. 오건교 또한 이에 얼마나 자유로운지 깊은 성찰이 있어야 할 것으로 본다.
김대중대통령이 공동여권을 표방하는 자민련 사람을 각료로 임명하는 것은 정치적 자유다. 그러나 장관자리가 임명권자의 사유물은 아니다. 인사의 적정성에 객관적 의무와 책임을 수반한다. 만약 공동여권의 정치적 부담으로 인해 이같은 의무가 훼손된다면 매우 우려되는 현상이다. 오건교는 김종필 자민련명예총재에게 “문제없으니 걱정마시라”고 하고 김명예총재의 신뢰는 변함이 없다는 것으로 전한다. 그러나 이같은 자의적 해석이 국민의 신뢰를 얼마나 얻을지는 심히 의문이다.
어제 저녁에 청와대에서 가진 DJP 부부동반의 만찬회동이 행여 오장관 일에 부담이 되면 그 결과는 대통령과 민주당의 책임으로 돌아간다. 국민은 자민련이나 김명예총재를 상대하지 않는다. 국정의 주체는 어디까지나 대통령과 집권여당이기 때문이다. 추이를 주목하고자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