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초·재선 의원들이 들고나온 당풍 쇄신요구가 아니더라도 동교동계 구파의 전횡은 정치 발전을 저해한 것이 사실이다. 당의 공식기구는 한낱 장식품에 불과할 정도로 전락시킨 채 이른바 비선을 구축, 당정을 멋대로 농단해 왔다는 새찬 비판에 부딪쳐 있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동교동계 구파는 대통령 임기말을 더욱 지근에서 보필, 권력누수를 막는다는 구실로 비선강화를 한층 더 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단합에 저해요소가 될뿐만 아니라 나라의 기강을 문란케 한다고 보아 심히 우려된다. 동교동계 구파는 가신 1기로 간곤한 민주화 장정을 한 전공은 인정한다. 그러나 ‘내가 감옥살이를 할때 너희들은 무엇했느냐’는 식의 공치사는 더 용인될 수 없다.
1987년 오월항쟁으로 마침내 민주화가 이룩되고 나서는 누구보다 야당귀족의 영화를 누렸고 이젠 집권의 영화를 만끽하고 있다. 무엇보다 민주화 운동은 동교동계 구파사람들만 한게 아니라는 사실이다. 수많은 국민이 참여해 더러는 목숨을 잃었고 더러는 옥고를 치루고도 그 흔한 감투 한자리 얻을 생각없이 민생고에 허덕이는 사람도 많다. 비선에 의한 당정 전횡이 민주화 동지라는 이유로 면책될 수 없는 것이다. 탄압받던 군사정권 시절에는 아무나 믿기 어려워 동지 지상주의 사조직이 유용했던 고충은 이해한다. 그러나 지금은 아니다. 민주화 운동은 동지로 가능했지만 정치, 특히 집권 여당의 당정 운영은 동지로는 불가하다. 패거리 정치문화는 객관적 판단을 흐리게 한다. 실제로 민주당의 민심이반에는 이런 작용이 적잖게 연유했음을 깊이 성찰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도 현실은 오히려 당풍쇄신 요구를 괘씸죄로 대처하는 것 같다. 동교동계 구파가 당의 원로로 대접받고자 한다면 존경받을 수 있는 원로다운 처신을 먼저 보여야 한다. 하는 짓은 그렇지 못하면서 적반하장으로 쇄신 요구를 나무라는 것은 오만이다.
민주당이 비선정치를 청산, 지금부터라도 국민의 신뢰를 회복할려면 모든 의사소통이나 결정이 당내 공식기구에서 활성화 하는 공당의 면모를 갖춰야 한다. 이를 걱정하는 것은 민주당을 위해서가 아니다. 집권여당의 비선가동이 국민에게 폐해를 주고 있어 충고하는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