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관리공단 체질 개선해야

경기도내 지방자치단체들이 지방공기업 형태로 설립, 위탁 운영하고 있는 시설관리공단의 부실운영은 예사로히 넘길 일이 아니다. 시설관리공단 대부분이 정실인사를 일삼고 있을 뿐 아니라 방만한 예산운용으로 해마다 막대한 경영적자를 내고 있어 무용론이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보도에 따르면 안양시설관리공단의 경우, 1997년부터 종합운동장, 체육관, 문예회관, 중앙지하상가관리 등의 위탁업무가 불어나면서 직원수도 크게 늘어났다.

안양시설관리공단은 1997년 설립 당시 13억여원의 순이익을 냈으나 지난 한 해는 14억여원의 적자를 내는 등 해마다 적자 폭이 커지고 있는데다 또 비효율적인 예산운용으로 위탁대행비도 출범 당시 21억원에서 72억원으로 3배 이상이나 증가했다.

특히 이사장, 상임이사, 팀장급 4·5급 등 요직 간부들은 퇴직공무원이 대다수일뿐 아니라 자치단체장의 선거운동원, 단체장과 친분이 있는 특정지역의 낙하산 인사 등으로 충원돼 논공행상식 사조직으로 전락해가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고 있다.

1999년 3억1천만원의 자본금으로 설립한 부천시설관리공단은 지난해 주차사업본부가 4억여원의 흑자경영을 했으나 문화사업본부가 8억여원의 적자를 내 공단의 전체 적자폭은 4억여원에 달했다. 또 이 공단이 총자본금의 47%인 14억7천만원을 출자해 1999년 설립한 부천무역(주)도 지난해 1억3천만원의 적자를 냈다고 한다.

직원 70%가 전직 공무원들로 채워진 수원시설관리공단은 지난해 6월 설립된 후 1년동안 인건비만 17억원에 달하고 있으며 성남시설관리공단, 의정부시설관리공단도 각각 적자를 내 운영관리에 허점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경기도 시·군 시설관리공단이 파행적으로 운영되고 있으나 매년 적자에도 불구하고 인건비는 계속 올리는 것은 시민의 혈세를 소중하게 여기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단체장 선거운동원·퇴직공무원들로 충원된다면 낙하산 인사는 시설관리공단이 단체장의 사조직이라는 오해를 면키 어렵다. 이렇게 시민의 혈세로 효과없이 운영되는 시설관리공단이라면 인원구조와 기구축소 등이 마땅히 검토되어야 한다.

시설관리공단의 민영화와 존치여부 등 체질개선에 대한 공청회를 열어 활로를 개척해야할 시점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