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회견’을 촉구하며

국정회견의 무기연기는 한없는 연기인지, 잠수되고 나서 좀처럼 수면위로 떠오를줄 모른다. 요즘 청와대서 나오는 것은 거듭거듭 김정일위원장 답방요구 관련의 말 뿐이다. 김위원장 답방요구에 정신이 팔려 국정회견을 잊은 것인지 몰라도 답방이 쉽게 이루어질 것 같지는 않다.

북측의 6·15선언 1주년 메시지에서 외세배격을 강조한 것은 눈여겨볼 대목이다. 최고인민회의 양형섭 상임위부위원장은 기념사에서 민족자주를 내세우며 ‘미군철수’주장을 또 되풀이 하기 시작했다. 김정일위원장이 미군주둔을 인정했다는 것은 청와대가 내세운 남북정상회담의 큰 성과였다. 그런데도 북측이 하는 말은 다르다. 청와대는 미국과의 대화를 앞두고 괜히 해본 소리라고 할지 모르겠으나 그런것 같지만도 않다.

아무 메아리 없는 답방요구에 매달리기 보다는 국정현안에 눈을 돌리는 것이 국민의 바람이다. 지난 13일로 예정됐던 김대중대통령의 국정회견이 무기연기된 것은 가뭄이 이유였다. 가뭄은 그 이전에도 이미 심했고 지금도 심하다. 더이상 가뭄을 구실삼는 것은 회견을 하기싫어 하는 것으로 국민에게 비칠수 있다. 물론 가뭄은 큰 일이지만 회견을 안한다고 가뭄에 도움이 되는 것은 아니다.

회견내용은 인적쇄신을 포함한 국정쇄신이었다. 연기했다고 하여 이러한 쇄신이 필요없게 된 것은 아니다. 발단은 민주당의 일부 소장의원들에 의해 제기됐으나 시일을 끈다고 없었던 일로 그만둘 생각을 해서도 안된다. 시일을 끌어도 언젠가는 또 불거진다. 더욱이 국정쇄신 회견은 당내문제에 그치지 않는다. 국민과의 약속이다. 국정쇄신책 발표를 약속해 놓고 무작정 시일을 끄는 것은 결코 현명하다 할 수 없다.

쇄신방안이 없어서 그런다고 믿지 않는다. 국민이 바라는 인적쇄신, 국정쇄신이 무엇인지를 모를 것으로는 생각지 않는다. 국정회견을 해도 국민의 기대에 미흡한 회견이 될 요량이라면 아예 안하는 것도 방법일는지 모르겠다. 그러나 그렇게 믿고싶진 않다. 국정에 식상한 국민의 속탄 가슴을 해갈시킬 수 있는 쇄신책을 밝힘으로써 남은 임기나마 탄력성 있는 국정을 펼칠 수 있기를 바라고 싶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