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금의 충성심 경쟁

요즘 당정 일각에서 보이는 행태가 해괴하다. 이해찬 민주당정책위의장의 북방한계선(NLL) 및 제주해협 침범 사태에 대한 언급은 국민의 분노를 사기에 충분하다. “발포했으면 전쟁이나 경제가 붕괴했을 것”이라는 말은 이만저만한 망언이 아니다. 우리는 북측 민간선박에 발포하지 않은 것을 탓한 적은 없다. 이쪽 대응태세가 주객이 전도됐을 만큼 지나치게 무력해 보인데 대해 의문과 우려를 떨칠 수 없었고 사정은 지금도 마찬가지다. 전쟁이 나 경제가 붕괴했을 것이라는 말은 논평할 가치조차 없는 국민에 대한 위협이다. 이해찬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일찍이 이 정부들어 첫 교육부장관을 맡아 교육을 망친 장본인이라는 원성을 듣고 있는 사람이다. 그러고도 대통령의 신임을 잃지 않은데 대해 충성심을 보이는 것인지 몰라도, 그래도 그렇지 말은 가려서 제대로 해야 제대로 된 충성이라 할 것이다.

밀약설 제기 의혹의 계기가 된 북한 상선 교신문 공개도 그렇다. 비밀문건은 공개됨으로써 주적대상이 알아서는 안되는 국가 안보상의 기밀사항을 말한다. 북측 교신문은 누구보다 그쪽 당국이 더 잘 아는 내용이다. 이러한 교신문건이 공개됐다 하여 문제를 삼는 것은 북측은 알아도 국민은 알아서는 안된다는 것인지 무엇인지 도대체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 또한 과잉충성이다. 대통령의 답방간청을 두고 밝힌 전용학 민주당대변인의 논평 역시 적절치 않다. “합의 사항을 촉구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했다. 그러나 지금의 쟁점은 그런 원론적 수준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대변인의 논평이 핵심은 회피하면서 핵심에 속한 ‘간청형’에 대한 비판을 두고 ‘정상회담 성사를 바라지 않는 심술’로 비유한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이 또한 잘못된 충성이다. 자당 소속의 이만섭국회의장의 ‘구걸만류’충언 같은 것은 고립되고 충성경쟁만이 득세해 판치고 있다. 사리보다는 오직 한 사람만의 의중 헤아리기에 급급하여 그에 맞는 말만 맞춤생산 해내는 것이 과연 정상인지 지극히 의심스런 상황이다. 말이 되지않는 말을 하기보다는 차라리 가만히 있는 것이 오히려 돕는다 할 수 있다. 왜 이리 됐는가를 생각해보는 것이 의미가 있을는지는 알 수 없다. 새삼스런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남북관계 개선을 국기에 바탕을 두지 않으면 이야기가 다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작금의 맹목적 충성경쟁은 염려스런 점이 많다. 김대중대통령은 어떻게 판단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