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 연안어장이 집중호우 때마다 유입된 쓰레기로 황폐화하고 있는 것은 심각한 일이다. 올해도 수차례 내린 큰 비로 한강과 임진강 등지에서 휩쓸려 내려온 각종 쓰레기가 수천여t에 달하고 있다. 이처럼 해마다 장마때 내려온 쓰레기가 갯벌속에 파묻히고 쌓이면서 쓰레기장으로 변하고 있다. 쓰레기가 퇴적된 갯벌에서 악취까지 풍기면서 연안어장이 망가지고 있는 것이다.
사태가 이런데도 강화군으로서는 인력과 장비·예산부족으로 거의 손을 쓰지 못하고 있으니 답답하기 이를데 없다. 쓰레기 퇴적층이 눈에 띄게 높아지면서 꽃게잡이용 어구 등이 갯벌속에 파묻히는가 하면 어망이 퇴적쓰레기에 걸려 찢어져 어로에 지장을 주고 어획고가 크게 줄고 있다. 더욱이 갯벌에서 서식하는 어패류가 폐사하는 등 생태계마저 파괴돼 어민들이 생활터전을 잃어가고 있다.
문제가 이처럼 악화된 것은 최근 수년간 경기북부지역의 물난리 때 한강과 임진강을 타고 떠내려온 쓰레기가 제때 수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바람에 해마다 쓰레기가 적체됐고 날이 갈수록 조류에 따라 상당량의 쓰레기가 갯벌에 파묻히면서 결국 감당하기 어려운 상황에 이르렀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워도 속수무책으로 팔짱만 끼고 있어서는 안된다. 물론 정부는 내년부터 2005년까지 한시적으로 경기도·인천시 그리고 서울시 등 3개 지자체에 쓰레기 발생비율에 따른 처리비용을 분담시켜 강화연안 쓰레기를 처리할 방침을 세우기는 했다. 본격적인 쓰레기 수거는 내년부터 한다는 복안일 것이다. 그러나 당장 급한 것은 어민들의 생계유지다. 쓰레기 수거를 내년 이후로 미룰만치 지금 상황은 결코 여유롭지 않다. 망가지는 연안어장 복원은 하루가 급한 일이다. 인력과 장비·예산타령만 할 때가 아니다. 무엇보다 쓰레기가 널려있는 갯벌에서 악취를 맡으며 생계를 걱정해야 하는 어민의 딱한 처지를 생각해야 한다.
어민들의 삶의 터전인 어장의 파괴를 막고 보존하는 일은 정부의 기본적 의무다. 또 쓰레기를 치우는 일은 세금을 내는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서비스이기도 하다. 당국은 우선 장비와 인력을 총동원하는 등 특단의 대책으로 당장 연안쓰레기 수거작업에 나서야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