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신탕

일본이나 몽골 사람들은 말 고기를 먹는다. 지구촌은 저마다 이처럼 고유한 음식문화가 있다. 인도는 암소를 신성시 한다. 숫소만 먹는다. 근래엔 암소를 밀도살한다는 것으로 보아 금기가 조금씩 깨지는듯 싶다. 인간이 육식을 포기하지 않는한 모든 동물은 결국 인간의 먹이다. 다만 선별하고 있을 뿐이다. 나라마다 민족마다 다른 선별의 차이가 이질감을 낳을 때가 있다. 개고기도 마찬가지다.

작고한 지학순 대주교가 어느 외국의 모임에서 “한국 사람들은 개고기를 먹는다지요?”하는 힐난조 물음에 “식용 개가 있습니다”라고 말했다는 일화가 있다. 자신도 개고기를 무척 좋아했던 그분은 “외국인 들은 우리가 애완용 개를 먹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뭏든 보신탕이 외국인, 특히 서구인들에게 입방아 감이 되곤 한다. 프랑스의 육체파 여배우 B·B는 노태우 대통령에게 ‘개고기를 먹지 못하게 하라’는 편지를 보낸적이 있다. 1988년 서울 올림픽때 보신탕집을 한동안 억제했던 것은 이런 영향도 없지 않았다.

얼마전에는 영국의 어느 텔레비젼 방송이 우리의 개고기 식품문화를 방영했던 모양이다. 그러자 한국 대사관 앞에서 ‘보신문화 척결하라’는 등의 피킷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고 한다. 시위를 벌인 이들은 동물보호주의자들 이라는 것이다. 육식을 주식삼아 서구인들이 즐기는 쇠고기도 동물이긴 매한가지다. 멸종돼가는 희귀 동물이 아니고는 특별히 보호받을 동물이 따로 구분되기가 어렵다. 개나 소같은 일상적 동물을 보호하기는 동물보호주의자들이라 해서 일반인과 다를게 없다. 잘은 몰라도 내년 월드컵대회를 앞두고 올림픽때처럼 또 한차례 보신탕 시비가 외국인들 사이에 일것 같다. 하긴 국내에서도 보신탕을 혐오하는 사람들이 적잖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따지면 식성의 차별이다. 안먹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먹는 사람이 있기는 어느 음식이든 다 있는 현상이다. 외국사람 눈치 보느라고 개고기 처리가 법의 사각지대가 돼있다. 지난해인가 국회에서 식품위생법을 고쳐 명화화 하려했으나 좀더 두고 보자는 식으로 유보됐다. 하다못해 닭같은 것도 처리하는 도계장이 있는데 개고기 처리장은 없는 것이다.

/白山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