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시가 지역 주민의 편익을 위해 ‘권역별 주차장’설치를 추진하면서 현 단체장과 단체장 동생 소유의 토지와 건물을 주차장 부지로 매입 할 계획(본보 2일자 17면)인 것으로 알려지자 시민들간의 반응이 엇갈리고 있다.
더욱이 시는 주차장 설치계획을 추진하면서 토지의 이용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를 내세워 당초 계획을 변경, 단체장과 단체장 동생 소유의 토지 등을 주차장 부지로 더 매입해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지난해 11월 안양시는 주차장 확보율이 35%로 타 동에 비해 낮고 상습적인 이면도로불법 주·정차로 등으로 인한 주민들 간의 갈등을 해소 할 방안으로 동안구 비산1동에14억여원의 예산을 투입, 공영주차장(주차 57면) 설치계획을 수립했었다.
그러나 시는 당초 계획한 주차장 진입로(541의46 일대) 지하에 가스배관이 매설돼 있어 사고위험이 뒤 따른다며 진입로를 변경(547의24 일대), 신시장과 신시장 동생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와 건물 등을 더많이 포함시켰다.
논란이 제기될만한 대목이다.
안양시는 지난 1월 ‘권역별 주차장’설치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단체장의 토지 등이주차장 부지로 포함된 사실이 여론으로 확산되자 관계공무원을 인사조치하는등 주차장부지 매입과 관련, 석연치 않은 행태를 보여주고 있어 더욱 그렇다.
시가 순수한 시책으로 주차장 확보율이 낮은 비산1동 주민들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입 ‘권역별 주차장’신설을 추진하고 있다면 ‘권역별 주차장’부지로 매입되는 토지의 소유주가 누구든 업무를 담당한 관계공무원을 인사조치 할 이유가 있었을까?
또한 관계공무원을 인사조치한 뒤 주차장 진입로를 변경 단체장과 단체장 동생 소유의 토지를 더 매입할 계획을 추진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설명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비산1동 주민들이 겪는 주차난 해소를 위해서라도 ‘권역별 주차장’설치가 시급하다는 것은 인정하지만 “현 지자체장이 소유하고 있는 토지를 지자체에서 주차장 부지로 매입하는 것이 과연 옳은 것 이냐”는 지적에 대한 신시장의 답변을 시민들은 주목하고 있다. /안양=구재원기자 kjwoo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