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경지역 개발에 유념할 일

경기북부 휴전선 접경지역 개발계획의 윤곽이 잡혀가고 있다. 경기도가 수립한 접경지역 개발계획안은 문산∼전곡∼포천의 휴전선 남부를 동서로 횡단하는 평화관광도로 건설 등 10대 핵심전략사업을 비롯 모두 100여개의 각종 개발사업으로 짜여져 있다. 앞으로 각 지역별로 열리는 공청회에서 주민 의견을 수렴, 연말까지 계획안이 확정되면 부처간 협의를 거쳐 내년 상반기에는 종합계획이 최종 수립될 예정이다.

2003년부터 10년간 10조원이 투입될 의욕적인 이 사업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경기북부지역 발전에 새로운 활력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50년간 개발억제로 낙후된 포천·연천·파주 등 도내 7개 시·군 접경지역들로서는 남북분단 이후 최대 숙원인 개발계획의 틀이 잡혀감으로써 비로소 획기적인 전기를 맞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개발효과에 대한 기대못지 않게 개발에 따른 부작용도 만만치 않게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을 유념하지 않으면 안된다.

원래 휴전선 일대 접경지역 개발은 지난 정권에서도 여러차례 추진됐었으나 접경지역의 자연생태계를 훼손할 수 있다는 여론에 부딪쳐 번번히 백지화되곤 했었다. 그러나 현 정부가 들어선 후 통일에 대비해서 접경지역의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산업능력을 보강해야 한다는 명분에 따라 법제화한 만큼 자연보전과 개발의 균형이 깨지지 않도록 각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어느 지역보다 양호하게 보전돼온 생태계와 자연환경이 개발에 밀려 훼손되는 일이 절대로 있어서는 안된다.

아울러 50년간 개발욕구가 억눌렸던 지역이기 때문에 자칫하면 그 반작용으로 무질서하고 무분별한 개발이 우려되기도 한다. 난개발에 대한 폐해는 특히 수도권지역에서 수없이 경험한 바 있다. 그같은 전철을 다시 밟지 않도록 개발권역은 물론 개발지역 주변에 대해서도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계획을 세워야 할 것이다. 도시계획과 국토건설계획은 한번 실행돼 그 골격이 완성되면 뜯어 고치기 어렵기 때문에 백년의 대계일 수 밖에 없다. 접경지역 개발욕구가 아무리 강하고 화급해도 신중히 추진되어야 하는 까닭도 이 때문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