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의 허브공항을 자처하는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그동안 필로폰 등 마약과 총알까지 출입했다고 한다. 한마디로 어처구니가 없다. 인천공항의 보안검색에 구멍이 뚫려도 보통 크게 뚫려 있는 게 아니다.
마약사범들이 중국에서 만든 시가 94억원 상당의 3.12㎏의 필로폰을 지난 6월 중순부터 여행용 가방속에 1㎏씩을 비닐로 포장한 종이상자 안에 넣는 수법으로 밀수했으나 단 한차례의 검색도 받지 않았다니 얼마나 허술한 보안 검색인가. 필로폰 3.12㎏은 약 10만명이 투약할 수 있는 분량으로 인천공항이 문을 연 뒤 적발된 마약 중 가장 많은 양이다. 마약뿐 만이 아니다. 대학생이 총탄을 지니고 여행가방에 담아 버젓이 출국했다가 싱가포르 공항에서 걸려 인천공항의 보안검색이 망신을 당한 적도 있다.
보안 검색이 이렇게 허술한 것은 국제공항을 김포에서 인천으로 옮기면서 2002년 월드컵 분위기 조성을 위해 이전까지는 입국자들 누구나 통과한 X레이 문형게이트 등을 아예 없에는 등 검색을 대폭 완화한 것이 주원인이라고 한다. 그렇다 하더라도 수하물의 20% 정도를 검색한 김포에 비해 인천공항에서는 5% 이하만 실시하고 있다니 납득이 가지 않는다. 또 승객이나 수화물도 김포처럼 X레이 검색대나 문형게이트를 통과하지 않아도 돼 특별히 수상한 행동을 하지 않은 한 현장에서 적발하기 불가능한 실정이라고 한다. 게다가 검색 업무의 상당부분이 민간 경비업체에 위탁돼 경찰의 범죄수사를 어렵게 하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탁송화물에 대한 이온스캔 검색기도 폭발물 탐지는 어느 정도 가능하지만 마약 탐지에는 거의 무용지물이라고 하니 답답하다. 마약 탐색견도 10여마리에 불과한데다 1분 정도만 검색하면 후각이 마비돼 모든 짐을 검색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통관절차 간소화를 이유로 개항 때 부터 기내에 휴대하는 수화물에 대한 검색을 하지 않는 취지는 물론 이해를 한다. 그러나 범죄자들은 다수의 편의를 범죄의 수단으로 항상 악용한다. 항공기 내의 위험물 반입을 막는 일과 승객들의 출입국 간소화 쪽에 공항운영의 초점을 계속 맞춰나가되 X레이 검색대를 설치하는 것은 국제공항의 특성상 기본적이다. 마약을 탐지할 성능을 갖춘 이온스캔 검색기와 탐색견의 확충도 시급해졌다. 호미로 막을 일을 가래로도 못막는 불상사가 생기지 않도록 대비할 것을 강조해 둔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