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목단체의 賣票 손벌리기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벌써부터 친목단체들의 손벌리기 행태가 또 빚어지고 있는 것은 매우 우려할 일이다. 지방정가에 따르면 최근 가을철을 맞으면서 등산·체육대회 등 각종 행사를 개최하는 친목단체들이 출마 예상자들에게 행사협조를 요청하는 사례가 부쩍 늘고 있어 출마 예정자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행사주체가 지역내에서 조직력을 갖춰 영향력이 있는 단체들이고 행사에 유권자인 주민들이 대거 참가하기 때문에 이들의 요구를 거절할 수 없어 난처하다는 것이다.

물론 이같은 행태는 어제 오늘의 현상이 아니다. 과거 선거때마다 보면 무슨 산악회, 무슨 동호회 등의 이름을 대고 찾아와서 우리 행사에 참석해 달라며 손을 벌리는가 하면 아예 음식점에 모여 회식을 하면서 대금 지불을 요구하는등 돈을 뜯어내는 일이 예사였다. 표를 미끼로 거액을 요구해 선거를 돈벌이 수단으로 삼으려는 선거 브로커들도 극성을

부렸다.

그러나 정작 문제는 그같은 구태가 지금까지 근절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이다. 공명선거를 실천하자는 시민운동이 널리 벌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편에선 이같은 천박한 행태가 벌어지고 있는 것은 한심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더욱이 이같은 손벌리기 행태가 관변단체까지 확산되고 있는 것은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선거철만 되면 출마자들에게 접근해 친목모임을 핑계로 손을 벌리거나 표를 몰아주겠다며 노골적으로 금품을 요구하는 선거 브로커들이 살판 만난듯 기승을 부리는 것은 고질적인 병폐이자 공명선거를 저해하는 선거공해가 아닐 수 없다. 유권자들이 선거를 먹자판으로 인식하는 한 공명선거의 기대는 백년하청이 될 수 밖에 없다.

유권자들 중에는 손벌리는 일을 무슨 죄의식이나 큰 잘못이라는 생각없이 하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런 일이 선거 자체를 오염·부패시키고 자기들이 뽑는 후보를 부패시켜 결과적으로 나쁜 정치를 초래하는 것 아닌가. 이제 우리도 선거를 치를만큼 치러봤고 부정선거의 폐해가 얼마나 심각한가도 체험했으니 깨끗한 선거풍토를 정착시킬 때가 됐다.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유권자들이 민주시민의 긍지를 살려 공명선거에 앞장서는 성숙한 자세를 보여야 한다. 손벌리기를 부끄럽게 생각해야함은 물론 한걸음 더나가 금권을 동원하는 후보자에겐 표를 주지않는 슬기를 발휘해야 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