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시설의 탈 서울은 시대적 추세다. 정부기관도 가능한한 이래야하는 마당에 일반 국가시설의 이전 확장은 더 말할 것이 없다. 서울 혜화동에 있는 지금의 국립과학관은 낡고 협소해 신설규모 차원의 이전확장이 추진되고 있다. 지방 이전이 마땅한 일반 국가시설이다.
국립과학관 이전을 두고 서울시가 뒤늦게 월드컵축구대회 상암 주경기장 일대 등 부지 두곳을 제공하겠다며 유치에 나선 것은 심히 당치 않다. 과학기술부가 선정기준으로 삼는 접근성, 연계성에도 어긋난다. 접근성은 단순 교통편의, 연계성은 시설의 중복을 의미한다고는 믿지 않는다. 상암 주경기장은 세계적으로 내놓을 만한 축구전용 경기장인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 때문에 인근에 국립과학관이 들어서야 할 이유는 없다. 오히려 국가시설의 편중을 드러내는 중복성의 결함을 갖는다. 교통편의라는 것 역시 계절적, 그리고 시차적 제한을 면치 못한다. 상암 경기장에 게임이 있을 것 같으면 되레 교통불편이 막심할 것이다. 서울의 다른 곳에 유치한다 하여도 당치 않은 터에 항차 상암 경기장 주변이 가장 타당한 것처럼 내세우는 이유는 허구다.
국립과학관은 예정대로 당연히 지방수도권에 건립돼야 한다. 2천18억원을 투입, 내년부터 2006년까지 부지 10만평에 건평 1만5천평 규모로 첨단과학관 자연사관 과학기술관 어린이 과학관 탐구체험관 문화예술관 등 옥내 시설과 멀티미디어 쇼 탑승전시물 휴식공간 등 옥외시설을 갖추는 국립과학관은 국민적 과학입국 시설이다. 이를 통해 훌륭한 과학인의 꿈을 키워 과학정신을 배양할 수 있는 국민과학관의 전당이 곧 국립과학관이라고 믿는 것이다. 중앙과 지방팔도를 연결하는 지방수도권에 건립하는 것만이 국민적 이용의 효율성을 극대화 한다. 이는 부정될 수 없는 객관적 판단이다. 국가시설의 투자는 목적의 효율성과 일치돼야 하기 때문이다.
국립과학관 유치는 경기도, 인천시의 여러 기초자치단체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부지제공은 비단 서울시만이 갖는 의사가 아니다. 유치에 나선 경기, 인천의 자치단체도 소요부지의 무상제공을 이미 밝힌바가 있다. 이 가운데 어디가 적지라고 본란이 말할 입장은 아니다. 앞으로 심의기구에서 제반 사항을 참작하여 결정할 일이다. 다만 여기서 단언할 수 있는 것은 서울만은 당치 않다는 사실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