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부실한 문화재 관리

강화지역에 있는 많은 문화재들이 당국의 관리소홀 등으로 인해 크게 훼손되고 있다는 본보의 보도가 얼마 전(11월10일자 18면)에 있었다.

지난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사적 제137호인 하점리 부근 고인돌과 마니산 정상의 사적 제136호 참성단 등 국가지정 문화재 28종과 지방지정 문화재 등 강화지역 106종의 문화재들이 무심히 방치돼 있어 원형마저 훼손되는 지경이라고 하니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우리의 얼과 역사가 서린 귀중한 문화재가 이렇게 훼손되고 있는 실정은 비단 강화 등 인천·경기지역만이 아니다. 한국의 문화재 관리 상태는 한 마디로 전국 도처가 ‘총체적 부실’이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감사원이 지난 6∼7월 두 차례에 걸쳐 문화재청 등을 대상으로 실시한 감사 결과를 보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 관리·보존 업무는 민망스러울만큼 무계획적이고 주먹구구식이다.

올해 문화재청이 문화재 보존 및 관리를 위해 2천725억원의 예산을 집행하면서 법·규정에 따른 기본계획조차 수립하지 않았다고 하니 달리 무슨 일은 하였겠는가. 이로 인해 1998년 보수가 시급한 것으로 판명된 129개 문화재 가운데 40개 문화재는 보수 대상에서 제외된 채 훼손됐다고 한다. 보존관리의 소홀로 1995년부터 2000년 사이에 무려 5천665점이 도난 또는 해외로 밀반출된 사실도 충격적이다. 더구나 문화재청이 2000년에 보조금을 지원한 321개 보수·정비사업중 123개 사업은 불요불급한 것이었다고 하니 대상 선정을 도대체 누가 어떻게 했는지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국립박물관이 조선총독부로부터 인수한 발굴유물과 지난 1963년부터 1999년까지 11개 유적지에서 발굴한 유물 역시 인력부족 등을 이유로 유물대장에조차 등재되지 않았다니 분실 또는 훼손됐어도 그 내용을 모를 것 아닌가.

최근 보도된 강화지역을 한 예로 들었지만 문화재가 무참하게 훼손되고 쓰레기장화하고 있는 것은 실로 수치스러운 일이다.

정부는 물론 시·도, 시·군의 주먹구구식 문화재 행정이 이대로 계속되고, 여기에다 국민들의 문화재 보호 인식마저 점차 퇴색한다면 한국의 문화재들은 과연 어찌될 것인가. 당부 또 당부하거니와 부디 문화재 행정을 가볍게 생각하지 말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