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를 위한 평택항 분리인가

정부의 시책은 그 형성 과정에 공론이 수렴돼야 신뢰를 갖는다.

그같은 검증이 없는 시책은 설득력이 있을 수 없다.

해양수산부가 평택항을 당진항과 분리하려는 시책이 바로 공론으로 검증이 안된 즉흥 시책이 아닌가 한다.

물론 아직은 검토단계라 하지만 검토가 있게 된 자체 부터가 잘못이다.

평택항은 이제 겨우 출발단계로 외부 투자가 간절한 실정이다.

이런 단계에서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당진항 분리는 투자자를 내쫓는 것이나 다름없다.

해양수산부의 당진항 분리 방침에 평택시민들이 분노하는 것은 당연하다.

평택시의회 의원들은 지난 27일 일제히 해양수산부를 찾아가 이같은 평택시민의 분노를 전달하면서 강력히 항의했다.

평택시민들의 반대투쟁은 앞으로 더욱 확산될 전망이다.

그러나 이에 유의해야 할 것이 있다.

평택시민의 당진항 분리 반대는 결코 지역이기나 집단이기가 아니라는 사실이다. 알려진 바에 의하면 당진항 분리설이 갑자기 나오게 된 연유가 정치논리에 기인된 것이라고 한다.

바꾸어 말하면 당진항 분리설이야 말로 지역이기, 집단이기인 것이다.

평택항은 경제분야의 일이다.

경제논리로 풀어가야할 평택항 문제를 정치논리로 분리시키고자 하는 것은 결국 평택항도 당진항도 다 제구실을 못하게 만드는 것이다.

평택시는 평택항을 위한 배후도시 조성을 한창 추진중이다. 평택항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다.

중앙정부가 이에 힘을 보태주어야할 마당에 오히려 김을 빼어 좌절감을 안겨주는 것은 해도 너무한다는 게 지역사회의 한결같은 중론이다.

해양수산부는 평택시민들의 주장에 다시한번 귀 기울여야 할 시기다./평택=이수영기자 syle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