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형문화재 계승 특별대책을

무형문화재의 전통이 끊길 위기에 처했다. 경기도의 주요 무형문화재의 기능을 전수하려는 젊은이들이 없고, 그나마 전수받던 사람들도 중도 포기하는 사례가 속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경기도가 경기도의회에 제출한 행정사무감사 자료에 따르면 현재 도지정 무형문화재 32개 종목, 36명의 기능보유자 가운데 상당수가 62세를 넘긴 고령인데다가 사양산업인 조선 등 일부 종목은 기능전수 희망자들을 찾기 어려워 전승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것이다. 더구나 후계자가 없는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들이 고령 또는 병고로 타계하는 사례가 늘어나 그 심각성을 더해 주고 있다.

실예로 지난 8월 도지정 무형문화재 제8호 승무살풀이 기능보유자 수원시의 정경파 선생이, 10월에는 도지정 무형문화재 제9호 줄타기 기능보유자 광주시의 조송자 선생이 타계했다. 이로 인해 승무살풀이와 줄타기 등 종목의 기능보유자 인정이 지난 10월 도 문화재위원회에서 해제되고 종목만 무형문화재로 남았다.

승무살풀이의 경우 후계자들은 몇명 있지만 아직 기능보유자로 인정될만한 실력을 갖추지 못했다는 것으로 알려져 자칫하면 종목까지 무형문화재에서 해제될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줄타기도 그동안 기능전수를 받아오던 조송자 선생의 손녀(중학생)가 전수를 포기, 전수의 맥이 끊길 처지에 있다. 거기다가 도지정 무형문화재 중 3·4·5·6호는 이미 1990년대초 기능 보유자가 타계하였으나 후계자가 지정되지 않아 종목조차 제대로 모른채 서류상 지정번호만 남아 있는 상태다. 이렇게 무형문화재의 맥이 끊기고 있는 것은 시대변화에 따라 전통문화를 배우려는 젊은이들이 거의 없는 탓도 있지만, 무형문화재 계승이 생계에 도움을 주지 못하는 것도 큰 이유 가운데 하나라고 할 수 있다.현재

기능보유자에게는 50만원, 고양송포호미걸이 보존회 같은 단체에는 15만원, 후계자에게는 20만원이 매월 겨우 지원되고 있어 전수를 기피하는 실정이다.

여기에다 승무살풀이의 경우처럼 기능보유자 인정 기준이 지나치게 엄격해 일정 경지에 다달았으면서도 포기하는 사례가 빈번하다고 한다.

앞으로 당국은 맥이 끊기는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 및 전수자 발굴을 위해 주력함은 물론 조선장과 같이 판매가 불가능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종목과 실수요가 많은 종목은 차등 지원하는 등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것이다. 특히 기능보유자 자격은 이론이 아니라 실기인 점을 감안, 인정 기준을 재검토해야 할 대상이라고 본다. 무형문화재 계승을 위한 예산 증액 등 특별대책이 마련되기를 기대하여 마지 않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