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대 설립 서명운동에 동참을

경기도민의 숙원사업인 경기교대 설립이 전 도민운동으로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연말 경기도와 도 교육계가 주축이 되어 경기교대 설립을 위한 ‘1000만명 서명운동’이 전개되어 그동안 도민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받고 있는데 이제 이런 운동이 도내 시·군 지역으로 번져 그 열기를 더해 가고 있다. 안양·군포·시흥 등을 중심으로 전개된 지역

차원에서의 서명 운동이 각 지역으로 파급되고 있어 중앙으로부터 상당한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지난 14일 안양에서는 안양시와 지역기관 및 단체 대표 200여명이 ‘경기교육대 설립 1천만 서명운동 안양시 추진위원회’를 구성하여 가두 캠페인은 물론 서명 운동을 전개하여 시민들로부터 많은 호응을 얻고 있다. 앞으로 군포·시흥 도내 지역에서도 이런 유사한 움직임이 있어 경기교대 설립을 지지하는 도민들의 서명운동은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경기교대 설립 문제는 너무도 당연한 것이기 때문에 재론의 여지가 없다. 인구가 1천만명에 달하여 2∼3년후에는 서울의 인구를 능가하는 한국 최대의 광역자치단체가 될 경기도에 2세 교육을 담당할 교육대학이 없다는 것은 어떠한 논리에도 변명의 여지가 없다. 21세기를 지방화 시대라고 하면서 지역교육 발전의 동력을 제공하고 동시에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교육대 없이 어떻게 지방화를 논할 수 있는가.

교육부를 비롯한 정부 당국은 그동안 재원 조달 문제를 이유로 교육대 설립에 난색을 보였으나 최근 경기도가 대학 설립 부지와 건축비 문제를 부담하겠다고 약속하자 이제는 학생수 감소 등 교육여건의 변화 등을 이유로 내세우고 있는데 학생수 증가는 통계가 증명하고 있지 않은가. 교대 설립 지연은 다른 지역의 눈치를 보는 교육당국의 안일한 태도 때문이다. 다른 지역에서 교육받은 교사들에게 경기교육을 맡기라고 하는 것은 지역교육의 정체성을 주장하는 논리와 너무도 모순되는 것이다.

경기도는 최근 6년간 초등학생이 무려 24.6%가 증가하고 있으나 학생수는 교사 1인당 33.5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열악한 실정이다. 더이상 경기교대 설립이 미루어져서는 안된다. 도민들은 경기도와 같이 1천만명 서명운동에 동참하여 도민의 단합된 의지를 보여주어야 한다. 정부도 지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지역민에 의한 정체성 확립을 통한 교육 실현을 위하여 경기교대 설립에 적극적 자세를 가져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