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창열 경기도지사가 민주당 차기 지사후보 경선에 참여하는 데는 정당법상의 문제점이 있다. 아직은 민주당 당원이 아니라는 사실이다. 당원이 아니면서 경선 참여를 밝힌 것은 아무래도 좀 성급하다. 입당원서를 낸 상태이기 때문에 당원으로 볼 수 있다는 지사측 견해는 논리의 비약이다. 어차피 앞으로 입당이 될 것으로 보는 기정적 관측도 불가하긴 매 한가지다. 경선은 어디까지나 당원이 대상이 되는 현실적 문제이기 때문이다. 예약당원이 참여할 수 있는 게 아니고 또 그런 편법은 정당법에 실재하지도 않는다.
이는 지사 또는 지사후보로서의 자질과는 전혀 다른 별개의 문제다. 자질로 말하자면 평가할 만하다. 4년 가까운 지난 재임기간동안 연부역강한 행정수완을 발휘했다. 풍부한 행정경험을 바탕으로 한 일관성 있는 업무 추진력은 가히 역동적이었다. 이같은 평가는 그의 재출마 여부와 상관없이 검증된 사실로 굳이 인색할 생각은 없다.
임지사의 당원 신분 문제엔 본인의 책임도 없지 않지만 당의 책임이 더 크다. 오는 31일이 경선일자다. 그리고 14,15일이 경선 후보자 등록 마감이다. 이런 가운데 그의 입당원서는 이미 제출된 지가 오래인 것으로 알고 있다. 임지사의 복당문제는 당의 순수한 소신으로만 판단해야 하며, 그 가부가 벌써 판가름났어야 한다는 것이 객관적 관측이다.
물론 지금의 민주당 집안 사정이 다사다난 한 것을 모르지 않는다. 차기 대선후보 경선으로 영일이 없는 가운데 정계 개편설까지 나돈다. 이 때문인지 당의 일반 업무가 제대로 작동되고 있지 않는듯한 생각마저 들어 보인다. 그래도 늦출 일이 따로 있지, 경선이 눈앞에 닥친 광역단체장 후보 입당원서 처리를 지연시키는 것은 경선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서도 결코 유익하지 않다.
민주당이 어떻게 처리하든 그것은 순전히 당내 문제로 외부에서 상관할 일이 못된다. 다만 행여라도 불공정 경선 시비의 빌미가 돼 지역사회에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칠 것을 우려하는 것이다. 지체하면 지체할수록 좋을 게 더 없다.
민주당은 지금이라도 소정의 절차를 갖추어 임지사의 복당문제를 조속히 매듭지어야 한다. 경기도지사는 광역단체장 중에서도 수도 서울시장에 버금가는 중요한 위치다. 이에 추호라도 소홀함이 있을 수 없다. 이같은 관점은 비단 민주당 뿐만이 아니고 한나라당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여야의 지사후보 경선이 앞으로 원만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