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2년 봄, 의정부가 문화의 도시로 다시 태어난다.’지난해 4월 경기북부지역 최초의 극장 공간으로 문을 연 의정부 예술의 전당(관장 구자흥)이 개관 1주년을 기념해 3일부터 5월11일까지 대규모 ‘의정부음악극축제’를 개최한다.
의정부음악극축제는 21세기 가장 대중적인 예술이라고 할 수 있는 음악극의 보급과 진흥의 위해 올해 처음으로 창설된 음악극 페스티벌.
특히 이번 축제는 한강 이북에서 최초로 개최되는 제48회 경기도체전을 문화축제로 승화시키고, 서울 및 경기남부에 편중돼 있던 공연문화를 경기북부지역에서도 만끽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음악극축제에는 뮤지컬을 비롯해 무용, 오페라, 전통극까지 다양하다. 국내 8작품, 해외 5작품을 비롯해 차세대 예술가를 장려하는 아마추어 음악극 쇼캐이스, 뮤지컬 테크닉 워크숍, 어린이 뮤지컬 보이스 워크숍, 국제심포지엄 등 다양한 연구와 시도로 한국 음악극 발전의 베이스캠프가 될 전망이다.
의정부 예술의 전당 구장흥 관장은 “이번 음악극축제를 통해 의정부 예술의 전당을 명실공히 경기북부지역을 대표하는 최고의 문화예술공간으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라며 “축제기간 중 아무때나 의정부 예술의 전당을 방문하면 편안하게 음악과 극을 관람하고 워크숍에 참석할 수 있으며, 어린이들은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예술의 현장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해외 초청 공연작
▲러시아 타강카 극단 ‘마라와 사드’= 이번 음악극축제에서 가장 관심을 불러모으고 있는 해외 작품. 정신병원을 무대로 시종일관 신나는 서커스를 펼쳐 보이는 이 작품은 광기와 울분 속에 토해내는 휴머니티를 보여준다. 원래 브로드웨이에서 지난 1964년 초연돼 토니상을 수상했던 명작을 러시아 연출가 류비모프가 새롭게 연출, 폭발적인 에너지가
넘치는 독특한 방식으로 재해석했다. 2001 프랑스 아비뇽 페스티벌, 2002 홍콩예술제, 일본 시즈오가예술제에 초청돼 화제를 일으켰다.
▲호주 포푸리 극단 ‘프렌즈 앤 라이프’= 포푸리는 오페라, 뮤지컬, 카바레, 코미디까지 노래와 유머에 관한 최고의 재능을 발휘하는 젊은 극단으로, ‘프렌즈 앤 라이프’는 ‘라트라비아타’ ‘나비부인’과 같은 오페라 명곡에서부터 ‘레미제라블’ ‘미스 사이공’ 등에 이르는 브로드웨이 뮤지컬까지 세기의 명곡들을 하이라이트로 구성한 옴니버스 뮤지컬 갈라쇼다.
재치있는 무대매너와 익살스런 패러디로 세계무대에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러시아 국립모스크바 중앙인형극장 ‘진기한 콘서트’= 세계 최대·최고의 인형극장으로 꼽히는 단체의 다양한 캐릭터들이 살아있는 듯 무용과 음악을 공연한다. 공연 내내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사회자 역할의 인형은 옴니버스로 연결된 각 파트를 연결하면서 사회자 특유의 익살로 시대에 뒤떨어진 예술가인체 하는 출연자들에 대한 냉소적인 비판을 서슴치 않는다.
▲일본 와라비극단 ‘히비끼’= 히비끼는 우리나라의 ‘난타’를 연상케 하는 일본의 타악과 연극성이 잘 조화된 일본의 대표적 무언극 퍼포먼스(Non-verval Performance)중 하나. 단순하게 듣고 즐기기 위한 음악위주의 연주가 아니라 꽁트와 댄스 등 연극적인 요소가 곳곳에 배치돼 볼거리와 들을거리를 풍성하게 만들어 준다.
▲오스트리아 ‘데이브(D.A.V.E)’= 무용과 음악, 비디오 이미지가 결합, 테크놀로지와 육체의 조화, 환상과 현실의 만남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예술과 미디어를 결합하려는 시도가 돋보인다. 독일, 프랑스, 영국, 싱가포르 등 8개국 21개 도시에서 공연돼 화제를 모았다.
■국내 초청 공연작
▲세화문화재단의 퓨전드라마 ‘평화야!’= 구전설화 ‘견우와 직녀’를 평화의 여신과 인간의 사랑으로 재해석한 작품으로 동서양의 악기와 음악, 무용, 태권무, 연극을 아우르며 신바람 나는 퓨전예술의 진수를 보여준다.
▲서울시뮤지컬단 ‘성춘향 2002’= 한국 고전을 대표하는 ‘춘향전’의 정적인 이야기를 기반으로 승무, 바라춤, 북춤, 남사당 놀이, 사물놀이 등 한국 전통 예술을 총망라해 우리문화의 흥을 한껏 느끼며 즐길 수 있는 총체적인 무대예술을 보여준다.
이밖에 ▲극단 무연시 정선아리랑 창극 ‘아우라지’ ▲극단 갖가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극단 미추 ‘마당놀이 변강쇠전’ ▲안숙선의 판소리 ‘흥보가’ ▲극단 사다리 ‘징검다리’ 등의 공연이 펼쳐지며, ‘인간의 모습을 찾아서’란 테마로 펼쳐질 박병천·백향주 등의 ‘전통춤 명인명무전’도 눈길을 끈다. 828-5841∼2
/배성윤·고영규기자 ygk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