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지사후보 경선 외압설

민주당 경기도지사 후보 경선이 외압설로 잡음이 일고 있는 사태는 유감스럽다. 이미 경선 후보를 선언한 김영환(金榮煥·안산갑)의원은 기자회견을 자청, ‘배기선(裵其善)의원이 자신의 선거대책본부장에게 제3후보로 진념 경제부총리 영입이 확실시 된다’면서 그의 합의추대를 위해 나의 사퇴를 요청했다’고 밝혀, 파장이 일고 있다.

이에 대해 배 의원도 ‘도내 지구당위원장들이 진 부총리가 출마하는 게 좋다는 의견이어서 김 의원측에 그의 추대를 도와줄 수 없겠느냐고 권유했던것’이라고 설명했다. 경위야 어쨌든 당선 가능성만 따져 특정인을 영입하고, 다른 후보를 사퇴시키면서 까지 합의추대하려는 것은 그 의도 자체가 도민경선의 본질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것이다. 경선의 공정성을 근본적으로 해치는 것은 물론 상향식 공천원칙을 손상시키는 것이다. 모처럼 민주당이 시도하는 정치개혁에 역행하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도지사 후보를 결정하는 도민경선은 출마자가 1명이라면 당연히 합의추대가 가능하겠지만 복수일 경우엔 공개된 장소에서의 열린 경선이라야 한다. 도도히 흐르는 시대의 흐름은 더 이상 밀실 결정과 하향식 공천을 허용하지 않고 있다. 선거인단에 대의원과 당원뿐 아니라 일반 국민도 동참하는 도민경선제를 채택해 놓고도 후보를 사퇴시키고 특정인을 합의추대한다면 도민경선의 의미는 퇴색할 수밖에 없다.

김 의원의 후보 사퇴 추진 세력이 누구냐도 논란거리다. 이강래(李康來)당 지방선거기획단장은 ‘진 부총리에게 의사 타진만 했지 출마를 공식제안한 것은 아니다’고 했고, 김 의원측에 사퇴를 권유한 배 의원도 ‘개인적 의견에 불과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일을 과연 당이나 의원 개인이 독자적으로 결정할 수 있겠는가 하는 의문이 남는다. 김 의원측에선 ‘진 부총리가 지사후보 경선을 위해 사퇴하면 개각요인이 생기는데 대통령의 재가없이 추진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다. ‘김심(金心·김대통령의 의중)’개입논란을 일으킬 수 있는 대목이다.

물론 청와대측은 당에서 경기지사 등 일부 단체장 후보로 특정인을 내세워 대통령의 승낙을 받아달라고 요청했지만 거절했다고 했다. 그렇다면 이런 저런 오해를 불식시키기 위해서라도 지사후보 경선은 정해진 일정에 따라 공명정대하게 치러져야 한다. 민주당은 여당답게 페어플레이를 통해 정치개혁의 모습을 도민들에게 실증적으로 보여줘야 할 것이다. 민주당 스스로를 위해서도 그렇게 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