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천지역 주민들이 또 쓰레기 대란을 겪고 있다. 하루 200t의 쓰레기를 소각처리하는 오정구 대장동 폐기물종합처리장에서 주민 감시원에 의해 청소대행업체 차량들이 수거해 온 쓰레기 중 반입이 금지된 젖은 음식물쓰레기와 병원 쓰레기 등 불연소성 쓰레기가 섞여 있는 것이 발견돼 지난 4일부터 쓰레기 반입을 전면 중단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소사·원미·오정구 등 14만여 가구에서 하루 280t씩 발생하는 생활쓰레기가 수거되지 않은채 집집마다 방치되고 있어 주민들이 심한 악취로 고통을 겪고 있다. 이처럼 며칠씩 쓰레기가 수거되지 않아 불편을 겪는 일은 지난해에 이어 두번째며, 젖은 음식쓰레기 등이 섞여 반입이 일시 중단된 사례도 8차례나 된다. 이는 부천시의 쓰레기처리 행정이 제대로 자리잡히지 않은 결과다.
젖은 음식물쓰레기와 감염성 병원 폐기물 등 잘 타지 않는 쓰레기를 소각할 경우 소각장 주민들이 입는 피해가 큰 것을 고려할 때 대장동 폐기물처리장 비상대책위가 취한 반입금지 조치는 충분히 이해할 만하다. 그런데도 부천시 당국이 비상대책위의 분리수거 요구에도 불구하고 ‘모든 생활쓰레기를 분리수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손놓고 있는 것은 한심한 일이다.
우리는 좁은 국토에서 쓰레기 매립장을 확보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당량의 쓰레기를 태울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렇지만 소각처리장을 확보하는 것도 좀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자기 지역에 소각장 설치를 환영할 주민은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 우여곡절 끝에 설치한 소각시설은 그래서 소각과정에서 공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완벽한 장치가 필요하고 분리수거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 잘 타지 않는 젖은 음식물쓰레기나 불연소성 산업폐기물은 그것대로 따로 처리해야 옳다.
그러함에도 시 당국이 수거한 쓰레기의 선별작업이 어렵다는 청소대행업체의 입장만을 두둔하고 비상대책위측에 혼합처리를 요구하고 있는 것은 이해할 수 없다. 당국은 이제 분리수거에 대한 주민 지도와 함께 보다 적극적인 대책을 세워야 한다. 이제까지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운동이 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있어왔지만 전혀 실효성이 없었음을 감안하여 다시 한번 시민운동 차원에서 음식물 쓰레기 줄이기 운동을 전개해야 할 것이다. 쓰레기 문제는 어떻게 되겠지 하고 안일하게 넘길 일이 결코 아니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