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30만명의 작은나라 우루과이는 월드컵축구와는 깊은 인연을 갖고 있다.
1924년과 28년 하계올림픽에서 연이어 우승한 우루과이는 독립 100주년을 맞는 1930년 초대월드컵을 유치, 성공적으로 월드컵을 치뤄내며 원년 우승을 차지했다.
50년 월드컵에서는 개최국 브라질을 꺾고 두번째 우승을 차지한 뒤 54년 스위스 월드컵에서 4강에 오를 때까지 남미의 최강으로 전성기를 누렸다.
브라질, 아르헨티나와 함께 ‘빅3’를 이뤘던 우루과이는 이후 내리막 길을 걷어 70년 월드컵을 기점으로 열악한 경제상황까지 겹쳐 좀처럼 회생기미를 보이지 못했다.
이번 월드컵 예선에서도 오세아니아 1위인 호주와 홈앤드 어웨이 방식의 플레이오프까지 치르는 천신만고끝에 90년 이후 12년만에 통산 10번째 본선에 올라 그 어느때보다 감회가 깊다.
4-4-2 전형을 이루고 있는 우루과이 공격의 핵은 플레이메이커 알바로 레코바와 투톱인 다리오 실바, 니콜라스 올리베이라.
최종예선에서 6골을 뽑아낸 실바를 포함한 이들 3인방은 우루과이를 남미예선 5위에 올려놓은 마지막 4경기에서 4골을 합작하며 팀의 본선행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특히 레코바는 173㎝, 68㎏으로 비교적 작은 체구지만 프랑스의 지네딘 지단을 연상케 하는 역동적인 드리블과 경기를 읽는 시야가 뛰어나고 왼발슛도 위력적이다.
또 지난해 호주와의 2차전에서 2골을 뽑아내 우루과이를 본선 무대에 올려놓은 리차르드 모랄레스는 196㎝의 큰 키에 빠른 발까지 갖추어 올리베이라와 함께 새로운 최전방 공격수로 떠올랐다.
미드필더로는 레코바와 함께 페데리코 마가야네스, 파블로 가르시아, 쟌니 기구 등 유럽 프로리그에서 뛰는 3인방이 버티고 있다.
이탈리아 유벤투스에서 활약하고 있는 파비안 카리니가 골키퍼로 나서며 다리오 로드리게스, 파울로 몬테로, 알레한드로 렘보, 와싱톤 타이스가 포백수비진으로 남미예선 최소실점을 달성한 막강 수비를 자랑한다.
월드컵 개최 100주년이 되는 오는 2030년 대회를 유치하기 위해 벌써부터 움직이고 있는 우루과이는 이번 대회를 성적 상승의 전환점으로 보고 있다./정민수기자 jms@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