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에 이어 이번 대회 강력한 우승후보였던 아르헨티나가 북유럽의 강호 스웨덴의 벽을 넘지 못하고 탈락, 재앙이 그치지 않고 있다.
역대 어느 대회보다 이번 대회는 강호들의 ‘무덤’이 되고 있다.
아르헨티나는 12일 벌어진 F조 최종전에서 힘과 높이를 앞세운 견고한 스웨덴의 수비벽을 뚫지 못하고 고전하다 1대1로 간신히 비겨 승점 4로 스웨덴·잉글랜드(이상 승점 5)에 이어 조 3위에 머물며 탈락했다.
통산 14차례 본선에 오른 아르헨티나가 1라운드에서 떨어진 것은 34년, 58년, 62년 3차례로 이번 탈락은 4번째이자 62년 대회이후 30년만이다.
더욱이 FIFA 랭킹 1위인 프랑스와 공동 2위인 아르헨티나에 이은 우승후보들의 탈락 쇼크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추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우선 G조에 속한 ‘아주리군단’ 이탈리아는 에콰도르를 2대0으로 꺾어 산뜻하게 출발했으나 크로아티아에게 1대2로 패하며 승점 3으로 크로아티아에 다득점에서 앞서 2위를 달리고 있다.
그러나 조 1위를 노리는 멕시코(승점 6)와 최종전을 남겨놓은 반면 크로아티아는 이미 탈락이 확정된 에콰도르와 맞붙게 돼 13일 멕시코전에서 반드시 이겨야 16강에 오를 수 있다.
또 다른 우승후보인 D조의 포르투갈 역시 벼랑에 몰려있다.
1차전서 미국에 2대3으로 패해 이변의 희생양이 됐던 포르투갈은 2차전에서 폴란드를 4대0으로 대파해 승점 3으로 한국·미국(승점 4)에 이어 조 3위.
포르투갈은 14일 한국전에서 이겨야 하지만 한국이 홈 잇점을 안고있고, 온 국민의 성원을 업고 있는데다 사상첫 월드컵 1승으로 기세가 올라있어 마음을 놓을 수 없다.
예상치 못했던 패배속에 조급해진 프랑스와 아르헨티나가 리그 최종전에서 총력을 쏟고도 무너진 것에서 보듯 공은 둥글고 객관적 실력이 반드시 승부를 보장하는 것도 아니기 때문이다.
대회 개막전 우승후보로 꼽혔던 프랑스와 아르헨티나, 이탈리아, 브라질, 포르투갈, 잉글랜드 가운데 프랑스와 아르헨티나가 이미 탈락했고 이탈리아, 포르투갈도 바람앞에 있는 등불의 처지여서 브라질만이 유일하게 순항을 하고있다./월드컵 특별취재반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