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뿌리 민주주의의 태동을 알리며 출발한 민선 지방자치제가 6·13선거를 치르며 각각 세번째와 네번째 항해를 앞두고 출항을 준비하고 있다.
이번 전국동시지방선거는 1∼3대에 비해 월등히 많은 불법·혼탁사례를 남겼고 지역분파를 초래하는 등 적잖은 후유증이 예상된다고 대다수 유권자들은 우려하고 있다.
전체 인구 11만5천명에서 유권자 7만7천816명중 3만7천10명이 투표에 참여, 47.6%의 투표율을 기록한 오산시도 결코 예외는 아니었다.
현 시장, 전직 국회의원, 현 시의원 등 5명의 후보자들이 출사표를 던져 역대 가장 치열했던 시장 선거를 비롯해 절친한 죽마고우의 맞대결에서 전·현직 시의원간의 한치 양보없는 접전에 이르기까지 과거 선거에선 찾아볼 수 없었던 이색적인 양상이 두드러졌다.
여기에 한가지 긍정적으로 평가되는 대목은 시장, 도의원, 시의원 등 전체 당선자 10명의 평균 연령이 3대(시장)∼4대(도·시의원)에 비해 8세 정도 낮아졌다는 점에서 유권자들은 향후 이들의 활발한 시정·의정활동에 내심 기대를 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선거로 넓게는 지연·학연에서 좁게는 이웃간에 틈새가 벌어져 반목과 갈등의 불씨를 예견(?)했던 것처럼 여지없이 남기는 구태를 벗지 못했다고 유권자들은 지적하고 있다.
선거라는 회오리 바람이 지나간 자리는 어떤 형태로든 반드시 후유증을 남기게 되고 긴 시간이 흐르면 어느 정도 가라앉는 법이라고는 하지만 고질적인 소지역주의 선거풍토가 빚어 낸 깊은 상처는 당선자는 물론 유권자들이 함께 치유해야 할 몫이자 책임으로 받아 들여야 한다.
당선자들은 각자 숙제로 주어진 대화합의 명제를 지혜롭게 풀어 나가야 하고 유권자들은 당선자들이 냉철한 소신으로 시정·의정 활동을 펼수 있도록 힘을 실어 주어야 할 것이다. /오산=조윤장기자 yjcho@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