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수목원, 불신부터 해결해야

산림청 산하 국립수목원이 수목원 일대 자연파괴를 막기 위한 건축제한을 골자로 한 완충지역 지정을 앞두고 주민들과 마찰을 빚고 있다.

주민들의 입장은 단호하다.

완충지역을 수목원 소유 산림과 임업시험림 등에만 국한하고 사유지까지 확대하려면 정부가 매수하라는 게 주민들의 주장의 핵심이다.

나름대로 현실성과 설득력이 있는 견해다.

주민들과 수목원과의 깊은 골은 다른 대목에서도 발견된다.

지난 98년 대통령으로 이 일대 558㏊에 대해 이미 완충지역으로 지정돼 시행해 왔으나 지난해 3월 ‘수목원 조성및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면서 수목원측이 범위를 확대, 건축물 제한을 강화하려 하고 있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대책위원회를 구성, 올초 산림청장 면담을 하고 각계에 탄원서를 제출하는 등 반대의견을 분명하게 표출하고 있다.

주민들과 수목원측과의 갈등은 뿌리가 깊다.

이 일대에서 수백년동안 보존된 원시림과 함께 살던 주민들은 임업연구소인 중부임업시험장이 들어서 각종 수목을 연구하자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이 시험장이 지난 91년 수목원으로 승격된데 이어 지난 99년 국립수목원으로 지정된 뒤 갑자기 이 일대를 완충지역으로 고시한다고 발표하자 발칵 뒤집혀졌다.

주민들은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뽑아 낸다’며 수목원측을 불신하게 됐다.

주민들은 갑자기 자리잡은 수목원이 주민의 재산권과 생활터전을 무시하고 각종 규제와 재산권까지 빼앗아 간다며 분개하고 있다.

빠르면 다음달, 늦어도 연말까지 이 일대 완충지역 고시가 끝날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남은 기간동안 수목원측은 주민들과 불신을 먼저 해결해야만 수백년간 보존된 원시림이 앞으로도 수천년 동안 보존된다는 과제를 풀어나가야만 한다. /포천=김창우기자 cwkim@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