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운재 ’야신상 희망 살아있다’

‘아직 희망은 있다.’ 25일 열린 2002 한·일월드컵 준결승에서 한국이 독일에게 패하면서 결승진출의 신화는 무너졌지만 골키퍼 이운재(29·수원 삼성)의 ‘야신상’ 수상 가능성은 여전히 사라지지 않았다.

이운재와 올리버 칸(독일)의 대결로 수상 구도가 압축된 가운데 이운재가 이날 1골을 내준 반면 라이벌인 칸은 무실점과 함께 팀이 결승에 올라 유리한 입장에 서게 된 것이 사실.

그러나 냉정하게 판단했을 때 아직 게임은 끝나지 않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단순히 실점만 놓고 보면 두 선수가 나란히 6경기씩을 치른 26일 현재 이운재는 3골(이하 경기당 실점률 0.5)을 내줘, 1골(0.167)만을 허용한 칸에 크게 뒤져있다.

그러나 유효 슈팅수 당 실점률을 놓고 보면 얘기는 조금 달라진다.

무려 31개의 유효 슈팅에 노출, 토니 실바(28개·세네갈)를 제치고 이 부문 1위가 된 이운재는 이 가운데 3골을 내줬지만 칸은 21개의 유효 슈팅 중 1골을 허용, 이운재가 약 0.097골, 칸이 약 0.048골로 그 격차가 훨씬 줄어든다.

특히 결정적인 슈팅을 막아낸 수(Saves)에서는 이운재가 26개로 칸(18개)을 단연 앞서고 있고, 출장 시간에 있어서도 이운재는 596분으로 1위를 기록, 2위 칸(540분)보다 실점을 할 위기가 많을 수 밖에 없었다.

무명에 가깝던 이운재가 이미 세계 최정상급인 칸을 능가하는 선방을 과시해 지구촌 축구팬들에게 진한 인상을 남기는 데 성공한 셈이다.

또 약체로 분류됐던 한국이 준결승까지 오르는 데는 골과 다름없는 슈팅을 수도없이 막아낸 이운재의 공이 크다는 점을 FIFA 관계자들이나 축구 전문가들이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있다는 것도 희망적이다.

덧붙여 98프랑스대회 때는 우승팀 프랑스의 파비앵 바르테즈가 이 상을 받았지만 94미국대회 당시 16강에 그쳤던 벨기에의 미셸 프로이돔메가 초대 수상자 였다는 점에서도 이운재의 수상 가능성은 충분하다./월드컵 특별취재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