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시가 시민들 세금으로 편성한 예산은 물론 상부의 지원금 예산도 건전하게 운영해야 하는 건 당연하다. 사리가 이런데도 요즘 이상한 소문이 평택지역사회에 나돌아 알만한 시민들은 거의 다 알고 있다. 평택항 발전을 위해 경기도가 시에 하달한 지원금 1억원에 대한 행방이 묘연하기 때문이다. 이 예산은 지난 2월 ‘비상대책비’명목으로 내려왔는데 평택항 관련 어느 단체 사무실 임대 보증금으로 3천500만원이 지급됐다는 게 소문의 골자다.
문제는 평택항 발전을 위한 것이라면 나쁠 건 없지만 법인단체도 아닌 임의단체에 대한 이같은 지출이 과연 회계법상 타당하느냐에 있다. 소문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평택항의 충남 당진항 분리 반대 투쟁집회시 비용 및 식대보조 등으로 1천만원이 지출됐다는 것이다. 엄청난 식대비 산출근거가 무엇인지 궁금해 하는 건 당시의 집회를 잘 아는 시민들의 얘기다.
이상한 건 또 있다. 동남아 선진항만 견학비로 1천600만원이 지출됐다는 점이다. 선진항만 견학 자체야 좋지만 동남아에 견학할만한 선진항이 있느냐는 것이다.
지난 4월 경기도청앞 벚꽃놀이 잔치행사때 평택항 홍보비용으로 나갔다는 1천만원의 내역도 아리송하다. 뭘 어떻게 홍보한 것인지 벚꽃놀이 잔치행사에 참가한 시민들조차 잘 기억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다 보니 1억원 가운데 나머지 확인되지 않은 2천900만원인들 제대로 쓰여졌겠는가 하고 의문을 갖는 이들도 적잖다.
도가 준 지원금은 평택항 발전을 위해 지출돼야 하고 1억원이면 상당한 금액이다. 이 금액이 명분에 합당하게 집행됐다고 보기엔 돈을 쓴 흔적이 너무 없다고 말하는 이들이 많다. 건전재정운영의 원칙은 투명성을 요구한다. 지원금 집행이 베일에 싸여서는 투명하다 할 수 없다. /평택=이수영기자 sylee@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