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자 공기업에 억대 연봉이라니

기업은 적자를 내고 있는데 기업 운영자는 억대의 고액 연봉을 받고 있다면 그 기업이 제대로 운영된다고 볼 수 있을까. 적자를 내고 있는 기업이 있다면 기업의 고위직 임원은 고액의 월급을 받기 이전에 우선 기업을 흑자로 전환하기 위해 자신의 연봉부터 하향 조정하는 등 임원 자신이 모범을 보여줌으로써 회사 구성원들에게 새로운 각오를 보여 주어야 되는 것이 아닌지.

최근 국정감사 자료에서 나타난 바에 의하면 경기도와 인천을 비롯한 지방자치단체에서 공기업의 고위직 임원들이 공기업 자체는 적자 경영에 시달리면서도 사장 등을 비롯한 고위직 임원들은 억대의 고액 연봉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비난을 받고 있다. 경기도의 경우, 일부 의료원은 고정 부채가 수십억원에 달하고 있음에도 원장에게는 1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도 사정은 비슷하다. 무려 7천3백억원의 부채를 지고 있는 인천지하철공사는 사장의 연봉이 2000년에 비하여 16% 인상되었다. 이는 감사나 이사의 연봉 책정에도 비슷한 비율로 인상되었고 더구나 가계 안정비라는 명목으로 수백만원이 지급되었다. 때문에 하루 평균 1억3천여만원의 이자를 내고 있는 지하철공사가 빚을 줄일 생각은 않고 임원들의 월급이나 인상하고 있지 않느냐고 빈축을 사고 있다.

공기업은 일반 사기업과는 달리 이익만을 고려,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사기업의 운영 잣대만 가지고 공기업의 운영을 평가할 수는 없다. 의료원이나 지하철 공사 등은 특수한 성격의 공기업이기 때문에 때로는 적자가 발생하더라도 지역주민의 건강과 교통편의를 위해 질높은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되며 임원은 이런 서비스 정신에 투철해야 된다.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더라도 적자 공기업의 고위직 임원들의 연봉은 너무 많다. 공기업의 적자는 결국 일반 서민들이 낸 혈세에 의하여 충당되고 있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공기업 고위직 임원 스스로 적자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된다. 지자체는 공기업의 방만한 경영에 대하여 철저한 분석을 통해 적자 해소책을 강구함은 물론 고위직 임원의 고액 연봉 책정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 될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