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막식 이모저모

남북한 동시입장에 뜨거운 함성○…홍콩이 입장한 뒤 마지막순으로 주최국 한국이 북한과 함께 공동으로 입장하자 아시아드주경기장은 떠나 갈 듯한 함성이 울려퍼져.

한국 핸드볼대표 황보성일과 북한 여자축구 골키퍼 리정희는 한반기를 함께 잡고 흔들어 보였고 한국과 북한 선수단을 손을 굳게 잡은 채 ‘아리랑’에 맞춰 입장했고 관중은 모두 일어나 기립 박수를 치며 라이터를 켜 흔들면서 북한선수들을 환영.

남북 응원단 나란히 개막식 관람

○…부산아시안게임의 개회식이 열린 29일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는 만경봉호를 타고 온 북한 응원단 300여명이 참관.

이들 응원단은 이날 오후 5시 30분께 본부석 오른쪽에 자리를 잡고 고운 한복차림으로 인공기를 흔들며 경기장을 찾은 남녘 동포의 환영에 답례.

이들은 또 대형 인공기도 준비해 눈길.

한편 남한 응원단도 하얀 모자와 상의를 입고 북한 응원단 바로 위에 자리를 잡고 ‘이겨라 ONE KOREA’라고 쓰인 플래카드를 내걸기도.

입장 관중에 응원도구 지급

○…29일 부산아시안게임 개회식을 찾은 5만3천여 관중 전원에게 카드섹션과 개회식 연출을 위한 응원도구가 지급.

조직위측은 개회식 식전행사 ‘어서 오이소’ 코너에서 관중들의 참여와 흥을 유도하기 위해 나무로 된 주걱 등 주방도구를 전 좌석에 배치.

관중들은 개회식 시작에 앞서 코미디언 김종석과 난타 공연팀의 주도로 나무주걱을 두드리며 개회식 연출 준비운동을 했고 아시아드 엠블렘이 새겨진 적색과 녹색 양면 을 이용해 카드섹션을 연출.

형형색색 유니폼 ‘눈에 띄네’

○…41번째로 입장한 필리핀 선수단은 전원이 적, 청, 황색의 삼색우산을 접어든 채 돌리며 들어와 관중들의 탄성을 자아내.

대만 선수들도 오색찬란한 가오리 연을 들고 나와 시선을 끌었고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 선수단은 단복을 개조한 형태의 화려한 전통의상을 입고 입장.

말레이시아는 남녀 선수 모두 치마를 두른 형태의 백색 단복을 착용했으며, 브루나이 선수들도 현란한 무늬가 아로 새겨진 유니폼을 입어 눈길.

사연많은 국가 뜻깊은 입장

○…동티모르, 아프가니스탄, 팔레스타인 등 어려운 국내 사정에도 불구하고 아시안게임에 출전한 ‘사연많은 국가’들은 저마다 뜻깊은 입장식을 치뤄 화제.

신생국 동티모르 선수들은 ‘아시아의 축제’에 일원이 된 것이 감격스럽다는 시종본부석을 향해 손을 흔들며 ‘고마움’을 표시했고, 탈레반의 압제에서 벗어나 국제 스포츠 무대에 복귀한 아프가니스탄 선수단도 어렵게 한국에 도착한 피로 때문인 듯 다소 지친 얼굴이었지만 감개무량한 순간을 만끽.

팔레스타인 선수단은 야세르 아라파트 수반의 얼굴이 들어 있는 대형 사진을 들고 입장해 눈길.

‘대∼한민국’ 구호 재연

○…성화대에 불이 오르고 각국 선수단이 퇴장할 때별안간 석달전 월드컵의 흥분을 고스란히 담은 ‘대∼한민국’ 구호가 부산아시아드 주경기장에 울려퍼져

남북한 선수들이 북측 출구를 통해 경기장을 빠져나가는 순간 출구 주변에 있던 관중들을 중심으로 ‘주걱 박수’에 맞춰 ‘대∼한민국’을 외친 것.

함성은 차차 경기장 전체로 퍼졌고 600명의 ‘코리아’ 선수단이 모두 빠져 나갈때까지 식을줄 모습.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