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품 수거율 갈수록 급감

재생이 가능한 빈병 등 폐품류에 대한 수집률이 매년 큰폭으로 감소하고 있어 물자절약 및 폐자원 활용에 대한 제고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14일 한국자원재생공사 수도권지사에 따르면 지난 80년부터 물자절약등을 위해 재생이 가능한 비닐, 빈병, 고철 등 폐품류를 수거해 오고 있으나 노령인구 증가로 노동력 상실과 수거로 인한 인건비, 유류비 등 제반비용이 판매수익금을 크게 웃돌면서 수거율이 매년 격감하고 있다.

이로 인해 농촌지역 논과 밭 등에는 수거되지 않은 비닐과 농약병들이 뒹굴면서 토양 오염을 가중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자원재생공사 수도권지사가 지난해 10월말까지 도내 각 시·군에서 폐플라스틱 2만6천549t, 농약빈병 163t 등 4만8천40t을 수거했으나 올들어 지난달말까지는 9.9%가 감소한 4만7천718t을 수거하는데 그쳤다.

이는 노령인구가 늘어나면서 농약빈병 등을 수거할 엄두조차 내지 못하는데다 재생공사로부터 받는 수매가격(농약 빈병 개당 50원 플라스틱 빈병 ㎏당 800원)이 턱없이 낮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이같은 현상은 폐품류를 수집, 판매하는 민간업체에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인천지역내 대단위 아파트단지와 기업체, 학교 등을 대상으로 아파트 부녀회 등에 월평균 100여만원 안팎의 수거비용을 지불하고 각종 폐품류를 수거해 제지공장 등에 납품하고 있는 I업체는 올들어 각종 폐품류 가격이 폭락했는데도 인건비 등 제반비용이 인상되는 등 이중고를 겪으면서 수익성이 좋은 폐품류만 선별적으로 수집, 판매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회사 이모 대표(48)는 “20여년째 폐품류 수거사업을 해오고 있지만 갈수록 채산성이 악화돼 업종전환을 모색해야 할 형편”이라며 “자원재활용 활성화대책의 일환으로 폐품류 가격 현실화와 함께 재활용품 보급 확산조치가 뒤따라야 한다”고 말했다.

/고창수 고종만기자 jmgo@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