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공항과 인접해 항공기 소음공해를 겪고 있는 철거예정지인 부천시 오정구 고강동 90의4 속칭 ‘오쇠리’일대 12만여평에 대한 녹지조성사업이 수년째 표류하면서 폐가옥에서 생활하는 영세 세입자 수백여세대가 이주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서울지방항공청(이하 항공청)과 부천시, 오세리 입자 주민대책위 등에 따르면 부천의 가장 대표적인 변두리지역인 오쇠리는 김포공항과 인접해 지난 87년부터 주민들이 항공기 소음공해로 인한 생활불편을 호소하며 피해보상과 이주대책 등을 요구하는 집단민원을 제기, 지난 92년 서울지방항공청(이하 항공청)이 이 일대 40만4천119㎡를 ‘김포공항 시설결정 구역정비사업지구’로 편입해 녹지를 조성하기로 했다.
항공청은 이에 따라 지난 96년 6월부터 토지주 및 가옥주 등 400여세대에 대해 주거대책비 및 이사비용 등을 보상해주고 97년부터 강제 철거에 들어갔다.
항공청은 우선 이곳에 거주하던 전체 세입자 1천68세대중 363세대에 대해 이주대책비를 지급했고 212세대는 임대아파트에 입주했으며 342세대는 자진해서 다른 곳으로 이주한 상태다.
현재 남아 있는 세입자는 151세대로 현재 이들은 주민대책위를 구성, 이주할 임대주택과 입주하기 전까지 임시 주거단지를 마련해 줄 것을 부천시에 요구하고 있다.
항공청은 이미 모든 보상절차를 완료한데다 세입자들에겐 4인가족 기준 430만원의 이주비용을 지급하기로 했으나 세입자들이 이를 수령하지 않아 지난 2000년 8월 인천지법 부천지원에 공탁을 걸어놓은 상태에서 부천시와 세입자들간 이주대책이 해결되기만 기다리고 있다.
특히 항공청은 공항정비사업의 인가기간이 연말까지여서 강제 철거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는 지난해 10월 이 지역이 재해지역으로 지정되자 상동신도시에 건립되는 21평형 80가구와 24평형 73가구의 주공 임대주택 특별공급을 추진했으나 세입자들이 매월 4만∼50만원에 이르는 임대료 및 관리비 부담을 이유로 반대하는 바람에 무산돼 별다른 이주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항공청과 시는 세입자들이 하루빨리 자진해서 떠나기만을 기다리고 있지만 세입자들은 3백∼4백여만원의 이주비용으로는 다른 지역으로 이주할 수가 없고 임대주택 보증금 인하 및 공공임대아파트 보장, 가(假)이주단지 조성 등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관련, 오쇠리 세입자 150여명은 4일 오후 부천시청 앞에서 이주대책을 요구하는 집단 항의시위를 벌이는 한편 지난달 25일 어린이 4남매가 숨진 화재원인에 대한 경찰의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세입자 주민대책위 이호수 위원장(52)은 “관계당국의 무관심속에 세입자들은 수시로 발생하는 방화(放火)와 강제철거 위협속에 불안한 나날을 보내고 있다”며 “지난 3월 인천국제공항이 개항된 이후에는 세입자들의 이주대책은 더욱 뒷전에 밀려나 있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부천=강영백기자 kyb@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