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고양시 상수도사업소가 꼭 필요하지 않은 배수지 건설을 추진, 물의를 빚고 있는 가운데(본보 6일자 17면 보도), 환경부 역시 시설용량 확장이 필요하지 않다는 결론을 내려 파문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또 상수도사업소가 배수지 건설을 위해 지난해 9월 H공사와 H엔지니어링에 발주한 ‘일산지역 상수도 확장공사 기본 및 실시 설계’용역비가 과다 지급됐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환경부는 지난 6일 고양시가 지난 9월 승인 요청한 기본 및 실시설계안을 검토한 결과 현재 고양시의 상수도 시설용량은 44만8천t인 반면, 총급수량은 22만t에 불과하다며 시설이 남아 돌기 때문에 용량을 추가로 확장할 이유가 없다고 밝혔다.
환경부 관계자는 “현재 급수(수요)량이 시설용량의 70% 수준에 이른다면 몰라도 절반에도 이르지 못하는 상황에서 실시설계안을 그대로 승인할 수 없다”며 “조만간 수정보완지시를 내리겠다”고 말했다.
환경부의 이같은 결정은 사실상 일산지역 상수도 확장공사(배수지 신설)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행정자치부는 예산편성지침에서 공사금액 300억원까지의 공사의 경우 기본설계비 지급요율을 공사비 대비 1.22%로 규정하고 실시설계비는 2.44%씩 지급토록 하고 있으나 상수도사업소가 이를 무시하고 1억8천824만원을 더 지급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상수도사업소측은 “공사비가 200억원을 초과하고 300억원에는 미치지 못해 엔지니어링사업단가 기준을 적용, 용역비를 추가로 지급했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시의회 도시건설위원회는 지난 6일까지 계속된 예산심의에서 상수도사업소의 설명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며 배수지 건설과 관련, 내년도 예산 42억2천880만원 전액을 삭감,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 넘겼다.
김달수 의원은 “지난 20여년동안 상수도 관련 대형 공사 전량을 특정업체가 독점해 왔고 이번에도 이 업체가 공사를 수주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소문나 갖가지 의혹이 일고 있다”며 “상수도사업소의 해명은 말도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고양=한상봉기자 sbhan@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