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월 1일은 음력 정월 초하루인 설날이다.
한해를 시작하는 첫날이라는 뜻으로 정월 초하루를 원일(元日), 원단(元旦)이라고도 부른다.
우리 조상들은 정조차례(正朝茶禮)라 하여 아침 일찍 사당에 제사음식을 진설하고 제사를지냈다.
차례 예법은 지방과 가문에 따라 조금씩 다른데 너무 격식에 얽매이기 보다는 조상께서 생전에 즐겨 드시던 음식을 정성스럽게 준비해 넋을 기린다는 마음가짐으로 지내면 된다.
다만 조상께 올릴 차례음식은 만드는 과정에서 후손들이 먼저 먹지 않도록 해야 하며 고춧가루나 양념은 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생선을 차례상에 올릴때는 ‘치’자로 끝나는 갈치나 삼치, 잉어등은 피해야 한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상을 차릴 때 방위(方位)는 상을 어느곳에 차리든 신위(神位)를 모신 곳이 북쪽으로 제주(祭主)가 제사상을 바라보아 상의 왼쪽이 서쪽, 오른쪽이 동쪽이다.
차례의 대상은 기제사(忌祭祀)를 지내는 모든 조상으로 기제사에서는 밥(메)과 국(갱)을 올리지만 설날에는 떡국으로 대신하며 술도 기제사에서는 세번 올리지만 명절제사는 한번만 올리고(單作單拜) 숭늉은 올리지 않는다.
병풍을 치고 그 앞에 상을 놓은뒤 지방이나 사진으로 신위를 모신다.
차례상은 모두 5열로 신위 앞에서 부터 제1열은 반열, 제2열은 어육, 제3열은 탕열, 제4열은 소채, 제5열은 과일을 올린다.
첫째 줄에는 떡국을 신위앞에 놓도록 하고 시첩(수저 담아두는 그릇)과 잔반(잔과 술받침대)은 떡국 왼쪽에 놓으면 된다.
둘째 줄에는 육적, 닭(봉적), 두부(소적)등 삼적과 전(부침)을 놓는다. 진설할때는 상의 왼쪽인 서쪽부터 국수, 육적, 전, 소적, 어적(조기), 떡을 놓는다. 조기는 보통 3마리, 5마리 등 홀수로 놓는데 요즘은 간소하게 한마리만 놓는 경우도 많다. 또 생선을 놓을때는 머리는 동쪽(오른쪽), 꼬리는 서쪽으로 향하게 한다.
세번째 줄에는 육탕, 어탕, 소탕(채소) 등 3탕을 진설한다. 배열은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漁東肉西)) 놓으면 된다.
네번째 줄에는 ‘좌포우혜(佐脯右醯)’로 완쪽에는 포, 오른쪽에는 식헤를 진설하고 그 사이에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 등 3색 나물과 간장, 김치등을 놓는다.
포는 북어와 육포, 오징어, 말린 문어 중 한가지 이상 택하면 되며 식혜는 건더기만 건져놓는다.
맨 앞줄인 다섯째 줄에는 홍동백서(紅東白西)로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과일은 서쪽에 놓으면 되는 것으로 밤 배 감 약과 사과 대추순으로 놓거나 대추 밤 곶감 배 약과 강정 순으로 진설하면 된다.
차례 지내기
차례 지내기에 앞서 제주가 한복을 입었다면 반드시 두루마기를 입어야 하며 양복일때는 반드시 와이셔츠에 넥타이를 맨 정장을 해야한다.
차례는 조상이 돌아가신 날 지내는 기제사와는 달리 직계 조상 모두를 합사(合祀)해 무사단헌(無祀單獻)이 특징이다.
신위는 상의 제일 안쪽에 모시는데 왼쪽에 남자, 오른쪽에 여자를 모신다.
차례는 거실이나 안방에서 지내고 동쪽에는 남자손이, 서쪽에는 여자손이 선다.
제주가 꿇어 앉아 향을 사르고 양옆 두 집사의 도움으로 강신(降神)잔에 술을 세번 딸아 세번에 나눠 모사 그릇에 비운뒤 전체가 두번 절한다.
왼쪽 집사가 잔과 받침대를 들어 제주에게 주고 오른쪽 집사가 술을 따라 주면 제주는 향위에서 오른쪽으로 잔을 세번 돌리고 나면 오른쪽 집사가 잔반을 받아 상에 올린다.
집사는 친척중에 연세가 든 분이 맡는다. 모사그릇은 신이 흙을 밟고 온다고 하여 모래를 담아 향로 뒤에 두는 그릇인데 요즘에는 맵쌀로 대신하기도 하며 그 위에 청솔잎을 꽂아둔다.
제주 또는 집사가 젓가락을 들어 접시에 세번 구른뒤 가지런히 하여 음식에 놓는다. 헌작한 자손들은 남자들은 두번, 여자는 네번 절한다. 절할때 남자는 왼손을 오른손 위에, 여자는 오른손을 왼손위에 올려 놓으면 된다.
헌작이 끝나면 6∼7분간 물러서서 기다린다. 그런다음 인기척을 하고 다가가 차례 참석자들이 모두 두번 절한뒤 조상의 신위를 모신 지방을 대문밖에 나가 불사르면 되며 사진으로 차례를 지낸 가정에서는 사진을 원 위치에 놓으면 모두 끝난다.
/고종만기자 kojm@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