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항 분리, 명칭 변경이 불가한 이유

평택항 분리는 물론이고 명칭도 ‘평택·당진항’으로 변경돼서는 절대로 안되는 이유를 다시 강조한다. 우선 명칭이 처음부터 ‘평택항’이었다. 개항 후 오늘까지 17년동안 사용했다. 또 평택항은 기능·면적 양면으로 80% 이상이 평택시에 집중돼 있다.

평택항발전추진위원회의 주장은 백번 옳다. 만일 해양수산부에서 평택항 일부를 당진항으로 분리할 경우 관세자유지역 지정 불가 등 경쟁력이 약화될 것은 뻔하다. 국제항의 명칭을 함부로 고치는 것은 대외신인도와도 관련되지만 특히 국가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도 항 분리는 절대 불가하다.

해수부는 합동조사위원회가 실시한 ‘평택항 명칭 및 항계조정에 관한 연구 조사’ 결과에서 평택항 명칭을 ‘평택·당진항’으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음을 근거로 내세우고 있지만 이 연구조사 자체가 설득력이 부족하다.

지난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항만 이용자 및 항만전문가 23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를 갖고 국책을 결정한다는 것이 절대적일 수 없다.

‘(평택항) 현재 명칭 사용(32.6%)’ 과 ‘평택항·당진항 분리지정(19.1%)’ 보다 ‘평택항·당진항 통합 명칭 사용(37.1%) ’ 의견이 다소 높았다고 하여 해수부가 ‘평택·당진항’ 명칭 사용을 제시한 것은 한마디로 성급했다. 250만 충남도민과 14만 당진군민의 민의가 1천만 경기도민과 36만 평택 시민의 민의보다 비중이 더 크다는 것인가.

판단을 미온적으로 보류하고 평택·당진의 지역갈등을 부추기는 것 같은 해수부의 태도는 실로 답답하다. 더구나 평택항은 머지 않아 지방해양수산청 신설이 유력시되는 항만이다. 전국 물동량의 53% 이상을 점유하는 수출업화물의 전진 기지이며, 부산신항·광양항과 함께 출발한 국책항만이기도 하다.

평추위가 자신들의 입장이 관철되지 않을 경우, 회원 1천여명과 시민단체들이상경, 해수부 앞에서 개최한다는 대규모 집회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해수부로 돌아간다. 평택항 개발을 추진하면서 수립했던 당초 계획을 해수부가 정치적 논리로 이용한다면 당장 심대한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 분명하다.

당진군이 국익적·대승적 차원에서 평택항 분리 및 통합명칭 사용 요구를 철회하는 일이 가장 현명한 해결책이겠으나 이 역시 순탄치 않은 일이다. 이러므로 도민은 평추위와 해수부에 가서 사태를 의논한 손학규 지사의 역량에 기대를 걸고 있다. 손 지사의 행정적·정치적 능력을 지켜보고자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