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투고/원자력발전소 건립 지역발전에 도움

원자력발전소(이하 원전)는 전 세계적으로 31개국에서 운영중이며 우리나라는 원전 시설의 규모나 발전량 면에서 세계적으로 열 손가락 안에 꼽힌다.

이와 같이 고도의 원전운영 능력을 보유하고 있는 원자력이 국가 기간산업으로서 매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결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원전 운영 과정중 발생되거나 병원, 산업체 및 연구소 등에서 발생되는 부수적인 산물인 원전수거물(방사성 폐기물)이 그것이다. 이들은 현재 발전소의 임시 저장고나 대전의 원자력환경기술원 저장고에서 안전하게 임시 저장되고 있다.

그러나 저장고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2008년부터 포화상태에 이르게 된다. 정부와 한수원(주)은 이들을 종합 저장하고 관리할 장소를 선정중에 있다. 그간 이 사업은 지역 주민과 지자체의 갈등, 정부의 사업 추진상의 문제 등으로 표류 중에 있다. 다행히 이번에 정부에서는 이 시설과 양성자 가속기 사업을 연계하여 시설 유치 지역에 모범적인 전원 도시형 지역발전을 이룰 수 있도록 획기적 방안을 내놓았다.

지난 2월 후보지로 선정된 4개 지역뿐 아니라 시설 유치를 희망하는 다른 지역에서도 부지 유치와 관련한 찬반 논쟁이 뜨겁다. 찬반 논리의 대부분은 시설의 안전성과 지역개발이다.

이 시설의 유치가 주민들과의 합의하에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모범적 사례가 되도록 서로 노력해야 하며, 부지 유치를 희망하는 지역주민들은 지역발전의 절호의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원자력 산업과 지역발전이 조화롭게 공존할 수 있도록 전 국민의 관심과 지역주민들의 현명한 선택이 필요한 때이다.

/이광석·한국수력원자력 영광훈련센터 과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