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베드타운인가?

엿장수 마음대로라더니 건설교통부 마음대로다. 건교부는 고양 행신2지구(22만7천평), 광주 진월지구(20만4천평), 남양주 가운지구(15만평), 의왕 청계지구(10만2천평), 의정부 녹양지구(9만2천평) 등 5개지구 77만5천평에 국민임대주택 9천454가구를 포함한 1만6천860가구분의 아파트 단지를 세운다.

주택공사를 통해 2006년말까지 지어 입주시킬 모양이다. 예정지구가 다 그린벨트 해제 지역이므로 환경훼손이 심화할 것은 불을 보듯이 뻔하다.

심각한 것은 베드타운의 증가다. 보나마나 서울 사람들이 대거 입주할 것이기 때문이다. 해당 자치단체는 지방세 세입보다 훨씬 더 많이 드는 상·하수도 및 청소 등 이밖에도 숱하게 쏟아질 행정수요로 마냥 시달릴 것이다.

중앙정부는 경기도 비대화를 이유로 모든 시책에서 홀대를 일삼고 있다. 역차별의 홀대가 이만저만이 아니다. 공장도 마음대로 못짓게 하고 대학 입학정원도 동결하기가 일쑤다. 이러면서도 도내에 베드타운만 자꾸 양산하는 것이 중앙 정부다. 원인 제공을 자기네들이 해놓고는 이를 트집잡아 부당한 역차별을 능사로 삼는다. 실로 적반하장이다.

도내 어디를 가도 차가 막히는 교통난의 가중, 이로 인한 대기오염의 심화 또한 중앙정부가 베트타운을 양산한 데 크게 연유한다. 자기네들 입맛대로 주물러 놓고는 뒤책임은 지방행정에 떠넘기는 것이 이 정부의 잘못된 수도권 정책이다.

이젠 하다못해 그린벨트 해제 지역까지 침범해 가며 베드타운을 또 만든다고 한다. 말이 해제지역이 지 사실상 해제해서는 안되는 청정의 자연이 무너지는 것이다. 이 공사의 긍정적 측면은 다만 건축 경기의 내수에 도움을 주어 침체된 경제를 지탱하는데 다소나마 힘이 되는 것이다.

경기도는 그래서 이렇게 저렇게 희생만 당하고 있다. 하지만 무작정 당하지마는 않을 것이다. 경기도 지역사회도 민심은 살아 있다./임양은 주필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