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신도시 주거환경 대책 세워라

갈수록 열악해지는 주거환경은 고려하지 않고 아파트 건설에만 치중하는 인천시의 신도시 조성사업은 속히 개선돼야 한다.

현재 인천시, 한국토지공사 등이 조성중이거나 준비하고 있는 택지개발, 구획정리, 재개발사업 가운데는 입주 인구가 2만명을 넘는 대규모 단지가 7∼8곳이나 된다. 이 중 서구 검단 토지구획정리사업지구는 오는 2006년까지 4만1천500가구, 12만명이 새로 입주할 예정이어서 2006년이면 인구가 18만여명으로 지금보다 3배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된 송도신도시도 지난 해 말부터 아파트 분양이 시작됐으며 향후 2020년까지 7만6천여가구의 아파트가 분양될 예정이다. 영종신도시, 남동구 주월주공 재건축 아파트 단지, 서구 청라지구 등 이들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조성되면 260만명인 인천 인구가 2009년이면 310만명을 넘어서게 된다. 문제는 신도시를 조성하면서 인천시가 주거환경 분야에 너무 소홀한 점이다. 검단지구의 경우 현재도 교통정체가 심한 편이어서 인구가 지금보다 3배가 늘어나는 3년 후에는 최악의 교통마비 현상이 빚어질 우려가 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인천시가 이 일대 10 곳에 총 길이 27.7㎞의 도로를 신설할 계획은 세웠지만 예산 미확보로 착공은 물론 보상 문제가 난관에 부딪쳤다. 더구나 검단지구는 아직도 수 많은 중소형 공장들이 기존 주택단지와 신축 아파트단지 사이에 뒤섞여 있어 주민들의 생활이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영종지구의 경우 공연장, 도서관, 여성회관, 체육시설 등 사회 문화 복지시설이 전무한데다 야간진료가 가능한 병원, 대형 쇼핑센터 등 기초적인 편의시설 조차 없고, 청라지구는 더욱 심하다. 주변이 화력발전소가 2곳, 쓰레기소각장, 주물공장 등으로 둘러싸여 있는데도 이들 시설 대부분에 대한 이전 대책은 없이 아파트 건설만 추진되고 있다. 주택단지 조성은 물론 필요하다.

그러나 사회·문화·복지시설에 대한 증설과 교통·공원 등 환경문제에는 아무런 대책도 없이 마구잡이식으로 아파트만 건설하면 그 피해는 모두 시민들에게 돌아간다. 지금이라도 아주 늦지는 않았다. 인천시와 토지공사 등은 문화·편의 시설을 갖춘 친환경적인 대책을 마련하고 공장·화력발전소·쓰레기소각장 이전을 서두르기 바란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