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카드는 자구책 강구하라

LG카드가 2조원의 채권단 긴급 수혈로 어제 오후부터 현금서비스를 재개하긴 했으나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다. 유동성 위기는 시한폭탄처럼 여전히 잠재해 있다.

정부가 채권단을 설득해 긴급 지원하는 관치금융도 한계가 있다. LG카드는 이미 고객들에 대한 몇번에 걸친 현금서비스 중단으로 상당한 악성 연체를 낳아 설상가상의 부실 요인을 더 떠안고 있다. 앞으로도 1~2조원의 추가 자금이 필요한 지경이다.

LG카드의 회생은 시장의 신용회복 여하에 달렸다. 자금 경색을 가져온 원인이 여러가지가 있긴하나 가장 치명적인 것이 카드채(債) 유통이 막힌데 있다. 채권시장의 투자자들로부터 외면당해 카드채의 신규발행은 커녕 이미 발행된 채권의 만기 연장조차 급급했다.

이러다 보니 연간 5~6조원의 운영자금이 막혀 오늘의 사태를 가져왔다. 앞으로 시장 회복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비상한 자구책을 강구해야 한다. 물론 연체금 회수도 중요하지만 방만한 경영을 개선하는 구조조정이 시급하다. 이래야 채권단의 신뢰도 받을 수 있다.

LG는 채권발행이나 유상증자 등을 통해 시장에서 추가자금을 동원할 수 있는 신뢰를 회복하는데 비장한 노력을 보여 주어야 한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