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고구려사’ 탈취를 막아라

중국이 고구려사를 자국사(自國史)로 편입시키려는 음모는 영토침략행위와 조금도 다르지 않다. 경악할 노릇이다. 대책이 정말 시급하다. 한민족의 대고구려를 중국 변방 소수민족이 세운 지방정권으로 규정하려 들다니 공분을 금할 수 없다.

지금도 중국은 고구려의 활동무대였던 한반도 북부를 중국 고유 영토였다고 강변하고 있다. 고조선사와 발해사를 인정하지 않을 뿐 아니라 학계 또한 지난 20년동안 1천편이 넘는 논문을 통해 똑 같은 주장을 해 왔다. 중국의 소위 ‘동북공정(東北工程)’이라는 국책 프로젝트의 논리대로라면 한국의 역사는 시간적으로 2000년에 불과하고, 공간적으로는 한반도 중부 이남으로 국한되는 셈이다.

더구나 중국은 고구려의 첫 도읍지 졸본성(卒本城)이 있던 랴오닝(遼寧)성의 환런(桓仁)과 두 번째 수도였던 국내성(國內城)의 옛터 지린(吉林)성 지안(集安) 일대의 고구려 유적을 내년 6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받기 위해 대규모 복원사업을 벌이고 있는 중이다. 특히 지안지역의 경우 호태왕(好太王·광개토대왕) 능 주변의 집 400여채도 헐었다.

이렇게 중국이 고구려를 중국역사의 일부로 편입하려고 도모하고 있을 때 우리 정부와 학계는 도대체 무엇을 하고 있었는 지 한심하고 답답하다. 한국 학계의 대응이 늦어진 이유를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이 명목상 고대사 연구라는 학술적 외피(外皮)를 쓰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있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은 모양이다.

북한이 평양 인근의 고구려 고분군을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 신청했다가 중국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보류됐기 때문에 역사 왜곡의도의 심각성을 비로소 인지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록 때는 늦었지만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 대책위원회’가 결성된 것을 계기로 강력한 저지책을 펼쳐야 한다. 특히 정부는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해 엄중히 항의하고 시정을 요구함은 물론 고구려사를 비롯한 고대 동북아시아의 역사를 체계적으로 다룰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북한이 유네스코에 신청한 고구려 고분군이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북한에서도 우리와 한 목소리를 내고 있음은 이데올로기는 달라도 민족과 역사는 하나라는 동질감 때문이다. 고구려사를 빼앗기는 것은 중국의 속국이 되는 것이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