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와 연천군이 260만평 규모의 고품질 쌀 생산단지를 친환경농업지구로 조성하는 것은 청정지역의 특성을 살린다고 보아 기대할만 하다. 친환경 농업의 말이 나온 지는 한참 됐다. 예컨대 오리농법은 이미 보편화 되었다. 따라서 파주시와 연천군이 계획하는 친환경농업은 기존의 방법을 병행하면서도 보다 청정생산에 합치되는 차원 높은 영농 개발을 브랜드화 할 수 있어야 한다.
쌀 개방을 앞둔 시점에서 국내산 쌀을 소비자들에게 차별화 하는 것은 국내 농업인의 경쟁력 강화다. 자치단체가 품질을 보장하고 생산자의 실명화로 유통과정의 신뢰가 담보된 좋은 쌀은 일반 쌀이나 수입쌀 보다 몇배 비싸도 소비의 선호도가 높은 것이 국내 시장이다.
이미 증산보다 미질이 중요시된 쌀 소비의 패턴에서 농약과 비료를 완전히 배제하는 유기질 농법의 불가피한 수확량 감소는 큰 문제가 아니다. 그러나 농업인 소득은 보장돼야 한다. 전보다 더 많은 소득이 있어야 친환경농업이 성공한다. 물론 고품질의 청정미는 시장에서 이같은 가격이 형성되는 것이지만 자치단체가 농지세 등 지방세를 감면하는 것도 가능한 지원 방법이다.
친환경농업이 가져오는 부대 생산물의 전략화가 또한 가능하다. 가령 논에서 생성되는 자연산 미꾸라지의 대량생산, 메뚜기떼의 번식은 이 역시 소득의 부업으로 그 청정성을 상표화하기에 충분하다. 친환경농업이 조성하는 논 농장의 생태계, 자연이 살아 숨쉬는 생태계를 관광자원화하는 방안도 검토할만 하다.
농약에 면역된 병충해는 해마다 더 독성이 강한 농약을 필요로 하고, 금비 역시 해마다 척박해가는 토양에 수요가 더 늘어만 간다. 여기에 도전하여 농약을 거부하고 금비 대신에 퇴비를 고집하는 친환경농업은 실로 숱한 고난이 따르는 것은 부인될 수 없다.
그러나 모험과 도전이 없으면 새로운 영광이 있을 수 없다. 친환경농업은 농지의 산성화를 배제하는 농지의 혁명이다. 농약과 금비로 인해 하천이 망가지는 환경훼손의 폐해를 막아주기도 한다. 마땅히 정부 차원에서 육성돼야 하는 것이 친환경 농업이다. 이를 파주시와 연천군이 독자적으로 추진할 의욕을 갖는 것은 높이 평가된다. 아무쪼록 세심한 준비와 계획으로 시범적 성공이 있기를 기대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