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유시민 의원의 용인 발언은 도덕성을 의심케 한다. 작금에 말썽이 되고 있는 열린우리당 전국구 장복심 의원의 돈 살포, 정동채 문광부 장관의 교수 임용 로비설에 대해 밝힌 그의 말이 제대로 전해진 것이라면 심히 당치 않다. 유 의원은 문제의 본질을 잘못 이해하거나 아니면 고의로 왜곡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우선 장 의원의 돈 살포 시점이 후보시절이란 점을 간과해선 안 된다. 유 의원 말대로 의원끼리 100만원의 후원금을 주고 받은 게 아니라 후보시절 그것도 전국구 순위 조정 시기에 뿌려진 것이라면 결코 정당하다 할 수 없다.
더욱이 검찰은 장 의원의 돈 살포에 대해 법률적 검토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 이런 시기에 여권내 유력자란 말을 듣는 유 의원의 잘못된 예단적 발언은 유감이다. 매우 적절치 않다고 보는 것이 객관적 판단이다. 교수 임용 로비설도 그렇다. 유 의원 말대로 교수 임용을 지원하면서 전화 한 통화쯤 할 수 있는 것은 맞다. 그러나 이는 권력의 배경이 없는 범인들 끼리만 양해될 수 있는 말이다. 정 장관은 입각하기 전에 이미 문광부 장관설이 파다하였고 서프라이즈 대표 서모씨 부인의 S대 교수 임용 로비설이 이 무렵에 있었다는 게 의혹의 초점이다. 만약에 이게 사실이라면 권력을 배경삼은 로비 아닌 압력으로 보아져 권력남용인 점에서 지탄받아 마땅하다. 그러나 정 장관이 로비설을 극력 부인하고 있어 진실이 무엇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이런 시점에서 (정 모 S대교수가) 그냥 전화받고 끊으면 되지(청와대에) 무슨 진정을 냈다는 등 하는 유 의원의 힐난은 되레 의혹을 부풀릴 오해의 소지마저 없지 않다. 근본적으로 돈봉투를 돌리거나 전화 청탁쯤은 당연한 것으로 보는 시각은 개혁세력을 자칭하는 것과는 아주 모순된다. 개혁을 한다는 사람들 부터 먼저 개혁적 도덕성이 확립돼야 한다. 그러지 않고는 공감을 얻을 수 없다. 남에게는 개혁적 잣대를 들이 대면서 자신에겐 묵은 잣대로 관용을 당연시하는 건 개혁의 자세가 아니다. 충고를 하는 덴 이유가 있다. 열린 우리당은 집권 여당이기 때문이며, 유시민 의원은 도내 출신의 국회의원이기 때문이다. 좀 더 변화된 면모를 기대하고자 한다.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