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지난 1일부터 대중교통체계를 새로 개편하여 실시하고 있다. 시민들을 편하게 해준다고 마련한 교통체계 개편이 시민들을 편하게 하기는 커녕 오히려 불편하게 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요금만 상승시킨 결과를 가져와 이에 대한 불만의 소리가 대단하다. 늦게나마 서울시장이 사과까지 하면서 개선을 약속한 것은 불행 중 다행이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경인지역 주민들의 불이익이다. 경기와 인천의 주민들 중 상당수는 서울에 직장이 있거나 또한 여러 가지 목적으로 서울을 거의 일주일에 2~3차례는 왕래하게 된다. 그러나 이번 버스체계 개편에서 경기도와 인천시가 서울시와 제대로 협의하지 못하여 경인지역 주민들은 사실상 불이익을 받고 있다. 같은 수도권에 있으면서 이런 차별 대접을 하는 것은 참으로 부당하며, 이를 사전에 충분히 협의하지 못하여 불이익을 받는 것에 대하여 경기도와 인천시는 책임을 져야 한다.
경인지역과 서울은 사실상 동일한 생활권이기 때문에 지금까지 유사한 요금체계를 가지고 운행하여 큰 불편이 없었다. 그러나 이번 개편과정에서 경인지역 지자체가 서울시와 함께 교통요금체계를 개편하려 하였으나, 버스노선 적자부문에 대한 분담문제를 합의하지 못했다. 이 때문에 경기도의 경우 요금체계 개편을 유보키로 한 게 결국 손해는 지역주민들이 보게 됐다. 경인지역 주민들은 대부분 서울을 왕래할 때 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어 실제로 얼마나 올랐는지 조차 잘 모르고 있는 상황인데, 이에 대하여 경기도와 인천시는 시민들에게 서울의 변화된 교통요금 체계를 홍보하지 않았다.
또 경기지역 소속 버스를 타고 서울에 진입하게 되면 무료 환승이 되지 않아 요금 부담이 늘어난다. 실례로 안양에서 경기지역 소속 버스를 타면 편도 1천9백원을 내고 서울시 소속 버스를 타면 1천3백원을 낸다고 하면 이는 잘못된 요금체계이다. 경기도와 인천시는 서울시와 조속 협의를 재개하여 차별받는 버스 요금체계를 곧 개선해야 된다. 행정은 시민들을 위한 편의가 최우선이다. 서울시가 얼마나 오래 전부터 버스요금 체계를 준비하였는데, 아직도 협의가 되지 않아 서로 다른 요금을 내어 주민들에게 불편과 손해를 준다면 이는 지방자치단체의 무책임한 행정이 아닌가.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