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역사왜곡, 남북 공동대응 환영한다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남북 공동대응을 추진하는 정부와 여·야 정치권의 구상은 시의 적절하다. 중국은 총리 산하에 둔 사회과학원에서 이른바 동북공정사업으로 고구려사 왜곡에 치밀한 준비작업을 해왔다.

그럼, 경기도 땅도 중국 땅?

이제와서 반론의 수세형 입장에 처한 우리로서는 대응에 애로가 없을수 없다. 시기적으로 늦은 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이를 탓만 할 수는 없다. 늦었다고 여겨질 때 시작하는 것도 잘하면 결코 늦은 게 아니다. 고구려는 도내 아차산성을 비롯해 남진정책 당시 영토가 한강변까지 이르렀다.

고구려가 중국 역사라면 중국 영토가 한강변까지 뻗쳤다는 논리이나, 이를 수긍할 수 없는 것은 숱한 고구려 유적문화가 중국 민족이 아닌 우리의 문화인 것이 실체적 사실(史實)이기 때문이다. 고구려만이 아니다. 발해 역시 우리의 역사다. 8~9세기경 발해에서 제작된 최고(最古)의 대장경까지 근래 발견됐다. 만주 땅과 요동반도, 연해주까지 뻗쳤던 고대사는 찬란한 부동의 한국사인 것이다.

더욱이 고구려사를 민족사의 정통 사관(史觀)으로 규정하고 있는 북한이고 보면 북측 역시 남북 공동 대응에 나서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 통일부가 추진하고자 하는 당국자 회담에서 이에 대한 좋은 결실이 있기를 기대하고자 한다.

中, 고구려 유적 접근방해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은 한마디로 우리 역사의 천년을 가로채는 역사 찬탈이다. 물론 중국으로서는 지금은 자기네 땅이 된 우리의 역사를 인정하기가 심히 거북할 것이다. 그러나 역사는 물의 흐름과 같다. 우격다짐으로 자기네 지방정권으로 우긴다 하여 역사가 바뀔수는 없다. 수나라를 망하게 한 을지문덕의 살수대첩, 당나라 패망의 연유가 된 양만춘의 안시성대첩 등이 지방정권으로는 도저히 있을 수 없는 것이 실증적 역사다.

이 기회에 촉구하고자 하는 것은 남북공동 대응과 아울러 남북의 역사학계가 다 같이 대처해야 한다는 사실이다. 중국이 이미 사회과학원을 동원, 역사 왜곡을 준비한지가 오래인 마당에서는 우리도 역사학적 구명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중국이 역사 왜곡을 얼마나 치밀하게 준비해 온지는 우리의 역사학자에 대해 고구려의 문화유적지 접근을 철저히 봉쇄해온 것으로도 능히 알 수가 있다. 심지어는 사진촬영도 못하게 하고 조금만 수상하게 여기면 연행해가기도 하였다.

남북공동대응으로 이 기회에 중국 땅에 있는 고구려 유적문화에 대한 현지 조사를 중국측에 제의하게 되기를 바라고자 한다. 중국학자와 남북의 학자가 과연 고구려가 누구의 역사인가를 다 함께 공동조사에 나섦으로써 유적문화에 대한 공식 접근이 있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여야, 남북 역량결집 계기

중국의 고구려사 왜곡에 대한 대응이 안으로는 정치권의 여·야가 인식을 다같이 하고, 밖으로는 남북 공동의 과제가 되는 것은 참으로 의미가 깊다. 우리는 중국이 앞으로 역사왜곡의 사실을 인정하게 된다하여도 중국 역사를 조금도 비하할 생각은 없다. 대륙기질의 이성적 판단이 있기를 촉구하면서 정부의 남북공동대응이 조속히 실현되기를 거듭 기대해 마지 않는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