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중 음식점이나 할인매장 등에서 쓰이는 업소용식품포장 랩 대부분에서 환경호르몬이 검출됐다.
특히 탕수육, 자장면 등을 주문할 때 뜨거운 음식이 랩에 닿은 상태로 배달되는 경우 환경호르몬이 스며나 올 위험이 비교적 큰 것으로 나타나 주의가 요망된다.
소비자문제를 연구하는 시민의 모임(www.cacpk.org)은 음식점과 대형할인점, 유통업체 식품매장 등에서 쓰이는 업소용 식품포장 랩 6종을 수거해 국가공인시험·검사·제품 인증기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검사를 의뢰한 결과 1개를 제외하고 모두 내분비계장애 추정물질 디-2-에틸헥실아디페이트(DEHA)가 검출됐다고 14일 밝혔다.
검출된 DEHA의 양은 중량기준 23.7~25.9%로 제품별로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DEHA는 주로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염화비닐(PVC) 재질의 비닐랩을 부드럽게 만드는 가소제로 첨가되는 물질이다.
이 물질의 인체 유해성 여부에 관해서는 아직 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나 세계야생생물보호기금(WWF), 일본 후생성, 미국 환경청(EPA) 등이 환경호르몬 혹은 이에 준하는 추정물질로 분류했으며 우리나라 환경부도 이를 내분비계장애물질 관찰대상으로 분류해 환경잔류실태와 생태영향 조사 대상으로 삼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가정용 랩 제품은 가소제를 첨가할 필요가 없는 폴리에틸렌(PE)을 주재료로 쓰고 있으나 PVC가 사용되는 업소용 랩은 여전히 가소제를 사용하고 있다.
/연합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