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에 공장등록도 하지 않은 J레미콘의 불량 레미콘 판매 파문이 일파만파로 번지고 있다.
불량 레미콘을 판매한 후 당연히 보상해 주거나 원상 복구,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도 이를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업체측은 원료비를 아끼려고 불량 자재를 사용했다. 어디서부터 규명해야 하는지 도저히 해답이 나오지 않는다. 그야말로 ‘총체적’ 부조리다.
최상의 레미콘을 생산, 다른 업체와 경쟁할 계획은 커녕 불량 레미콘을 각종 건설현장에 공급하려는 발상은 아무리 생각해도 납득되지 않는다. J레미콘이 생산한 불량 레미콘이 건물 벽에 사용됐다면 붕괴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
단순히 원료비를 아끼려는 의도가 인명 피해로 확산될 수 있다는 사실을 간과한 것일까.
J레미콘으로부터 물량을 공급받은 회사 관계자는 “레미콘 강도가 제대로 나오기 어려워 바닥이 아닌 공간에 사용했다면 어떤 사고가 발생할 지 모른다”고 밝혔다.
J레미콘은 앞으로 주공이 시행하는 화성시 향남면 발안지구 아파트 신축현장에 물량 공급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업체가 공공기관이나 대규모 공사현장에 불량 레미콘을 납품한다면 시가 나서 규제해야 마땅하다. 성수대교나 삼풍백화점 붕괴도 “괜찮겠지”라는 안전 불감증에서 비롯됐다는 사실을 되새겨야 한다.
/강인묵기자 imkang@kgib.co.kr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