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婚姻)이나 결혼(結婚)이나 같은 말이지만 다른 데가 있다. 결혼은 원래 일본어다. 그들 말로는 ‘개콘’이라고 한다. 혼인은 원래의 우리 말이다. 단군신화에서 단군을 낳은 환웅(桓雄)과 웅녀(熊女)의 결합을 원문은 ‘혼인했다’고 기록하고 있다. ‘결혼했다’고 돼 있지 않다.
부계(친족), 모계(외가), 처가(인척)를 가리켜 삼족(三族)이라고 한다. 그러니까 처가인 인척은 혼인에 의해 인척관계가 성립된다. 이러므로 ‘결혼=인척’보다는 ‘혼인=인척’으로 해석하는 것이 논리상 맞다. 법률상으로도 ‘혼인’이라고 하지 ‘결혼’이라고 하지 않는다. 민법 제3장 2절 혼인의 성립(807조) 조항부터 장가들고 시집가는 남녀의 부부관계에 많은 조문이 나온다.
그 조문의 모든 표현이 다 ‘혼인’이라고 하지 ‘결혼’이란 어휘는 단 한마디도 없다. 법률혼 성립을 설정하는 부부관계의 신고 역시 법률은 ‘혼인신고’라고 하지 ‘결혼신고’라고 하지 않는다.
이토록 순수한 원래의 ‘혼인’이란 말 대신 ‘결혼’이란 말이 외래어로 생활화 된 것도 따지고보면 일제 식민지 통치의 잔재다. 혼인식이라고 하면 구식혼례고, 결혼식이라고 해야 신식혼례인 것 처럼 여겼던 관념이 전해져 결국 고착화된 게 ‘결혼’이란 보편적 용어다. 지금은 거의 신식혼례를 올리는 가운데 지극히 드물게 구식혼례를 올리면서도 혼인식이라 하지 않고 무조건 다 결혼식으로 표현한다.
국어사전에도 ‘결혼’이란 단어가 우리 말로 나와 있긴하나 한 번 생각해 본다. 되도록이면 원래의 우리 말로 ‘혼인’이란 말을 쓰는 새로운 인식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 ‘결혼청첩장’이기 보단 ‘혼인청첩장’이라고 적힌 청첩장을 받아보고 싶다. ‘결혼’이란 말 보다는 ‘혼인’이란 말이 더 순수한 정감을 갖는다. 새 봄이 성큼 다가선다. 혼인이 많은 계절이다.
/ 임양은 주필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