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주민 알권리 무시한 민자역사 추진

“민자역사가 추진된다는데 맞습니까?” “모르겠습니다. 민감한 사항이어서 말할 수 없습니다”

기자가 의정부 민자역사 취재를 시작했을 당시 신세계 의정부역사㈜ 관계자와의 대화 내용이다. 이미 1년반 전 사무실까지 마련하고 사업을 진행시키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는데 황당했다. 모든 사항은 시에 알아볼 일이라고 잡아 떼는 태도를 도저히 이해할 수 없었다.

전화를 끊고 ‘사무실에 와서는 안된다’고까지 말하는 속셈을 생각했다. 민자역사사업의 언론 공개를 꺼리고 있기 때문이다. 괜스레 민원이 발생해 사업이 지체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민원으로 인한 비용도 줄이겠다는 의도도 깔려 있다. 주민들의 눈과 귀를 막겠다는 저의로 주민들의 알 권리가 무시당해도 된다는 발상이다.

예상되는 교통문제는 어느 정도이긴 하지만 인정하는 부분이다. 재래상인 수천명과 딸린 식솔까지 합치면 수만명에 이르게 될 주민들의 생존권을 어떻게 할 것인가. 결코 간과해서는 안될 심각한 문제다.

건축허가 시일은 늦출 수 있어도 내주지 않을 수 없는 게 법일 수 있다. 그렇다고 현실을 무시할 순 없다. 법대로 내줬다는 고양 러브호텔 허가가 얼마나 많은 민원을 야기시켰는지가 좋은 선례다.

민자역사는 현재로선 시기 상조란 여론이 비등하다. 교통문제를 해결하고 재래시장 등 기존 상권을 지킬 수 있는 특단의 대책이 먼저 마련돼야 한다. 건축허가가 나가고 건물이 올라 가면 이미 때는 늦다. 민자역사가 들어선 후 집단민원을 무슨 수로 감당할 것인지 모두 고민해야 한다. 대기업 배를 불리기 위해 주민들이 희생하라는 식의 사고방식이 그대로 방치된다면 이로 인한 원성은 시청으로, 시의회로 향할 것이기 때문이다.

/배 성 윤 기자 sybae@kgib.co.kr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